학술논문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한 한국 조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Regional Economic Impact of Korea Shipbuilding Industry by Use of the Regional Input-Output Model: Case in Jeonnam, Korea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채종훈(JongHun Chai)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4권 제1호, 33~5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산업이 전남지역의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국내외적으로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어온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남지역에서 조선산업의 최종수요 1,908,800백만 원이 발생 할 경우 전남지역에 미치는 산업별 생산유발효과는 약 3,038,624백만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약 940,656백만 원, 고용창출효과는 약 13,361명, 소득유발효과는 약 702,056백만 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남지역내 조선산업이 지역내 다른 산업에 미치는 생산파급효과를 살펴보면 제1차 금속제품 458,784백만 원, 화학제품 128,250백만 원, 금속제품 71,498백만 원, 석유 및 석탄제품 50,829백만 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전남지역에서 조선산업은 생산유발계수와 영향력계수는 29개 산업부문 중 6위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타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산업견인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전방산업 연관파급효과는 지역내에서 중상위 수준으로 나타나 전남지역의 향후 신규고용창출과 동부지역의 조선산업과 서부지역의 금속산업 및 화학산업간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한 지역전략산업으로 육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analysed riffle effect of shipbuilding business on regional economy in Jeonnam. For the analysis on connection to regional business, the most favored way to estimate economic effect of a certain industry in the nation and overseas, has been adopted. As a result of analysis, in case of 1,908,800 million won turnover in shipbuilding in Jeonnam, it would induce about 3,038,624 million won of production, about 940,656 million won of added value, about 13,361 employment and about 702,056 million won of income. Seeing production riffle effects of shipbuilding industry in Jeonnam on other businesses in the same area, it is found out to influence in order of on the primary industry metal products 458,784 million won, chemical products 128,250 million won, metal products 71,498 million won and on petrol and coal products 50,829 million won. Like this, shipbuilding industry is highly connected with metal and chemical industries, which make a cluster in eastern area of Jeonnam, suggesting that growth of shipbuilding industry in Jeonnam would maximize inter-industrial synergy effect in the reg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무역상대국간 무역수지와 환율간의 장기관계분석
-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한 한국 조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글로벌 불균형과 환율의 관계
- 美·中·印 소비자들의 한국 자동차 구매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사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카자흐스탄 경제발전에 대한 실증연구
- 농촌관광객의 관광동기와 세분시장특성에 관한 연구
- 내국인 국제관광수요에 대한 소득 및 여행가격효과 비교연구
- 일본 외환시장과 주식시장 수익간의 관련성분석
- The Transmission of Foreign Disturbances into a Small Country
- 유로존 국가들의 유로화 도입으로 인한 무역효과 분석
- 올림픽 메달의 자료 포락 분석
- FTA의 경제적 효과가 한국 관광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석유시장과 천연가스시장의 수익률 및 변동성 간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