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주배경청소년 유형별 진로탄력성 실태에 대한 교사 및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

이용수  549

영문명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Field Experts on Career Resilience of Migrant Youth by Migration Types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오성배(Sung Bae Oh) 이유정(Yoo Jung Lee)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7권 제2호, 75~9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 유형별 진로탄력성 수준을 밝혀, 이주배경청소년 진로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非)이주배경청소년 및 이주배경청소년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및 현장 전문가 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진로탄력성 구성요인 및 하위변인의 수준은 비(非)이주배경청소년, 국내출생 이주배경청소년, 중도입국청소년의 순으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집단 간의 차이는 대부분은 중도입국청소년과 비(非)이주배경청소년 간의 차이에 근거한 것이었으며, 이들은 국내출생 이주배경청소년과의 차이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국내출생 이주배경청소년과 비(非)이주배경청소년 간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진로교육에서 비(非)이주배경청소년과 이주배경청소년 간의 특성 차이 그리고 이주배경청소년 내의 유형간 특성 차이를 고려한 접근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areer resilience of youth with a migrant background by the types of migr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areer education of migrant youth. For this, the researchers recruited 58 teachers and experts that have experience in teaching non-migrant students and migrant students and conducted questionnaires to deriv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mponent factors and sub-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rder of non-migrant youth, native-born youth with a migrant background, and immigrant youth. Second, the differences were most pronounced between youth with a migrant background and youth without a migrant background. Als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native-born youth with a migrant background and youth without a migrant background.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in future career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an approach that considers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youth without a migrant background and youth with a migrant background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among various types of migrant background yout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성배(Sung Bae Oh),이유정(Yoo Jung Lee). (2022).이주배경청소년 유형별 진로탄력성 실태에 대한 교사 및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7 (2), 75-95

MLA

오성배(Sung Bae Oh),이유정(Yoo Jung Lee). "이주배경청소년 유형별 진로탄력성 실태에 대한 교사 및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7.2(2022): 75-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