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력동기에 관한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369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areer Motivation: Review of Domestic/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1997-2021)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박지연(Jee Yeon Park) 장환영(Hwan Young Jang)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7권 제2호, 23~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경력동기에 관한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경력동기의 향후 연구를 이끌어나가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을 모든 기간으로 설정하고, 국외 문헌은 career motivation과 관련된 SSCI 4곳 저널에서 연구된 것들을 포함, 총 77편의 학술논문을 검토하여 연구연도, 연구특성, 연구내용으로 분류하고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97년부터 7년 간의 간격으로 나누어 그 빈도를 보았을 때, 경력동기는 국내와 국외 모두 최근이라고 할 수 있는 2015~2021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대상별 분석에서는 국외는 교육서비스업 분야에서, 국내는 제조업 분야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방법별 분석에서는 국내와 국외 모두 양적연구가 많이 활용되었으며, 특히 조사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연구분야별 분석에서는 국외는 사회과학과 기타사회학 분야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국내는 경영학 분야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연구내용 분석에서는 경력동기를 시스템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Input-Process-Output의 범주화 모형을 설정하고, 개인과 조직으로 연구주제들을 분류하여 파악하였다. 연구내용을 경력동기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인(Input), 경력동기가 영향을 주는 결과변인(Output), 그리고 경력동기 자체의 내부적 과정(Process) 측면에서 주제들을 선별하고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동기에 관한 연구들의 이슈들을 논의하고 미래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some critical issues and propose future research topics regarding ‘career motiva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of past research. To do this, the researchers selected 77 domestic/international articles that dealt with the concept of career motivation. We reviewed research trends and issues found in the fields, methods, and themes of research and its publication years. The research found that career motivation articles were published mostly from 2015 to 2021 and that a majority of articles utiliz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especially survey methods. In terms of research fields, international papers were published mainly in the field of education services, while surveys across domestic papers were carried out mostly on the employee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review research themes systematically, the researchers employed system framework, Input-Process-Output, and investigated research topics from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iewpoints. The results revealed insufficient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deep meaning and working dynamics of career motivation. In contrast, a sufficient number of studies about the quantita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other variables were carried out.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nd proposed future research topics as a conclu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