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자치 개념에 대한 교원의 인식 탐색
이용수 160
- 영문명
- Explor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Concept of School Autonomy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희진 강호수 이동엽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2권 2호, 83~10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자치 개념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10명, 초등학교 교장 5명, 중학교 교사 10명, 중학교 교장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원들은 학교자치를 세 가지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가치론적 차원에서 학교자치는 민주시민 교육의 이상적 가치를 지향한다는 것이다. 둘째, 교육활동 차원에서 학교자치는 학교 교육활동의 우선순위를 찾는 과정 혹은 결과라는 것이다. 셋째, 실용적 차원에서 학교자치는 적절하고 효과적인 학교 조직운영의 기준이라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자치의 개념 정의에 있어서 다양한 구성원의 포괄, 교육활동의 직접적 명시, 학교 효과성과의 연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적 차원에 머물렀던 학교자치의 개념을 학교 현장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원들의 인식을 근거로 확인하고,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concept of school autonomy. To this end, t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 in focus group interviews, five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ten middle school teachers, and five middle school principals.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school autonomy in three ways. First, school autonomy orients toward the ideal valu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value. Second, in terms of the educational activity-centered approach, school autonomy is the process or result of finding the priority of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Third, in terms of practice, school autonomy is the standard for appropriate and effective school organizational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to comprehensively define school autonomy, w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include various members and educational activities; linked with school effective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and expanded the concept of school autonomy, which had remained at the theoretical level, based o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ho are practice it in the school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