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Focusing Manner on Stress Reactions among Middle-Aged Mal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통합치료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통합치료연구』제13권 제2호, 71~9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커싱적 태도의 각 하위변인들이 중년 남성 교사의 스트레스 반응 감소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2013년 11월 11일부터 11월 23일까지 서울·경기 지역의 중 · 고등학교의 중년 남성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변인들 중에서 느껴보기, 음미하기, 체험 주의 집중하기, 알아차리는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체험 수용과 표현하기 및 여유갖기는 스트레스 반응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포커싱적 태도의 각 하위요인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알아차리기와 느껴보기는 스트레스 반응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했으며, 체험 수용과 표현하기는 스트레스 반응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포커싱적 태도의 종류에 따른 중년교사의 스트레스 관리 능력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스트레스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포커싱적 훈련,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focusing manner on reduction in stress reaction among middle-aged male teachers. Therefore, from 2013 November 11 to 23, data on 220 middle-aged male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metropolitan area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ub-variables of focusing manner, stress re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eeling, savoring, experiential attention, noticing. On the other hand, experience acceptance-expression, and relaxa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response. In the results of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each sub-variables of the focusing manner on the stress reaction, noticing and feeling positively predicted the stress reaction, and experience acceptance-expression negativel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tress re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change in stress management ability of middle-aged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 of focusing manner, and through this results, the study presented the necessity of focusing training and education to improve stress management 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국내외 미술치료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장기미술치료를 통한 강력범죄피해 외상경험자의 회복과정
- 지적장애 여성의 모성 위기와 모성 정체성 회복 과정에 대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