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기질 및 놀이행동이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3

영문명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and Play Behavior on the Adaptation of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발행기관
한국통합치료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통합치료연구』제13권 제2호, 5~3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및 놀이행동이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36개월 이상 재원 중인 유아 19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적응과 유아 기질의 하위 요인들 간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 결과, 유아교육기관적응 전체는 기질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교육기관적응의 하위요인과 기질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요인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적응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 결과, 사회적 놀이, 혼자-정적 놀이, 혼자-동적 놀이는 유아교육기관적응전체와 정적 상관을 보이는 반면, 비놀이 행동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유아교육기관적응의 하위요인들과 놀이행동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계에서는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적응 전체와 기질의 하위요인인 정서성, 사회성, 활동성, 주의집중, 달래기를 예측변인으로 한 단계적 중 다회귀분석 결과, 정서성을 제외한 사회성, 달래기, 주의집중, 활동성이 유아교육기관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적응의 각 하위요인을 준거변인으로 하고, 기질의 각 하위요인들을 예측변인으로 설정한 후, 실시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에서는 준거변인에 따라 예측변인의 영향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적응 전체와 하위요인을 준거변인으로 설정하고, 놀이행동의 하위요인을 예측변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또래 유능감과 일과 적응은 사회적 놀이만, 유아교육기관적응 전체와 친사회성, 긍정적 정서, 자아강도는 사회적 놀이와 혼자-정적놀이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and play behavior on the adap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ata were collected for 195 infants who have been volunteering for more than 36 months at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turn analysis with the SPSS 26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al adaptation and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substrates shows that the entir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al adaptation h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all subfactors of the substrate. However, Different results were found between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al adaptation and sub-factors of disposition.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al adaptation and play behavior showed that social play, solo-static play, and solo-dynamic play ha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entir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adaptation, while non-play behavior had a negative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ub-factors of play behavior resulted in different results. Third, a step-by-step mid-recurring analysis with predictors of emotion, sociality, activity, attention, and soothing, which are sub-factors of the overall adap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wed that sociality, soothing, attention, and activity significantly explain. Different subfactors of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designated as quasi-substantifiers, and each sub-factor of the substrate was set as a predictor, and the results of the stepwis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different results. Fourth, a study that sets the entire adap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ubfactors of play behavior as predictors showed that peer proficiency and work adaptation are only social play, and child education institution adaptation as a whole, prosocial, positive, and self-intensity have significant effe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유아의 기질 및 놀이행동이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미치는 영향. 통합치료연구, 13 (2), 5-33

MLA

. "유아의 기질 및 놀이행동이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미치는 영향." 통합치료연구, 13.2(2022): 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