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한 여성건강간호학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
이용수 256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in Women’s Health Nursing through a Scoping Review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6권 제2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educational found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nursing practice education, through providing basic materials on th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f women’s health nursing after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n th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in maternity nursing and systematical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Methods : The scoping review was applied for grasping 21 pieces of research trends on th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in women’s health nursing, which were released domestically from 2011 to 2021. Results : A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delivery nursing educ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simula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 research theme includes totally 12 pieces (57.1%). There were 3 pieces (14.3%) for a research with a comparison of the effects between the simulation practice and the clinical training education, 3 pieces (14.3%) for a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simulation education according to a learning method, 1 piece (4.8%) for a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maternal-child) simulation education, 1 piece (4.8%) for a research on a method of operating the maternal and child nursing simulation, and 1 piece (4.8%) for a research on educational effects of the patient role experience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Conclusion :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in women’s health nursing, it is necessary to redesig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practice content and composition, and to seek various strategies for students to practice without stress and achieve educational effec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