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석류 수치모델을 활용한 토석류 피해지 유동모의 및 시설물 취약도 분석
이용수 27
- 영문명
- Debris Flow Simulation and Analysis of Vulnerability of Facilities Based on Debris Flow Numerical Model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10, 93~10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후 변화와 토지 개발로 인해 산지재난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그 발생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국토의 64%가 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강우가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는 우리 나라는 다양한 산지재난에 취약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산사태, 토석류와 같은 산지 재난의 발생 빈도가높아지면서 산지 재난 저감을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발생 현장에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토석류를 모의하고 실제 피해가 발생된 시설물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모의에 따르면 실제 토석류 피해지역과는 약 62% 정확도로 일치하였고, 실제 피해가 발생된 시설물이 위치한 구간에서는 약 2.0~24.8kPa의 충격력이 발생하였다. 또 취약성은 0.6 보다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scale of mountain disasters and the frequency of their occurrence are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and land development. The country of 64% is composed of mountainous areas and most of the rainfall is concentrated in summer, making Korea vulnerable to mountain disasters. In particular, as the frequency of landslides and debris flow increases, countermeasures to reduce the mountain disasters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simulated the debris flow based on the investigation on site where debris flows occurred and evaluated the vulnerability of the facilities that actually damaged. The simulation result coincided with an accuracy of about 62% for the area damaged by the actual debris flow. The impact forces about 2.0 to 24.8 kPa were generated in the section where the actual damage occurred. In addition, the vulnerability was found to be higher than 0.6.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지역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토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혼여성의 부모의 문제음주, 양성평등의식이 부부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토석류 수치모델을 활용한 토석류 피해지 유동모의 및 시설물 취약도 분석
- USLE를 활용한 경상북도 산림유역의 잠재적 유출토사량 산정
-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영향요인
- 4대강 재자연화 정책에 따른 갈등의 동태성에 대한 인과순환구조 분석
- 코로나19 원격교육에서의 간호대학 신입생의 역경지수, 학업적 정서조절 및 친구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팬데믹에서의 임상간호사의 정신건강
- XP-SWMM을 이용한 고현천 유역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홍수방어계획 수립
- 결혼이주여성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개선방안
- 지역사회 재난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코어시스템적 접근
- Crisisonomy Vol.17 No.10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