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 팬데믹에서의 임상간호사의 정신건강
이용수 106
- 영문명
- Mental Health of Clinical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10, 55~6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최일선 간호사의 정신건강은 중요하다. 본연구는 국내 다양한 의료현장에서 코로나 확진 환자나 감염 의심자를 대상으로 직접 대면 업무를수행한 임상간호사의 불안, 우울,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등의 정신건강과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온라인 설문지 방식의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49명이었으며, 이들 간호사의 중등도이상의 우울은 39.4%, 경미한 불안 28.1%, 중등도 이상의 불안은 21.6%, 부분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10.8%, 완전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29.3%로 나타났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유의한 영향요인은우울, 불안, COVID-19 근무기간(3개월 이상 ~ 6개월 미만, 6개월 이상), 결식빈도였으며,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설명력은 60% (F=54.26, p<.001)이었다. 코로나 현장 간호사들의 불안, 우울, PTSD 를 완화하고 예방하기 위한 실행 지침과 중재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여야 하며, 최소한 근무 중 결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들의 적절한 업무 강도와 식사 시간이 현실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법적 적정 인력과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Mental health of frontline nurses, who are critical healthcare personnel, is essential to overcome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ymptoms of depression, anxiety, perceived stres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frontline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This was a cross-sectional online survey usin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erceived Stress Scale, and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from November 2020 to February 2021. The subjects were 249 nurses with work experience of at least one month at the frontline of the COVID-19 response. 39.4% of the participants had a higher than moderate level (≥10) of depression, 49.7% had a higher than mild level (≥5) of anxiety, and 40.1% were above the threshold of partial PTSD (≥18). The influencing factors of PTSD were depression, anxiety, COVID-19-related work period, and skipping meals,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60% (F=54.26, p<.001). Mental health of frontline nurses in clinical fields of COVID-19 screening/treatment need to be monitored and managed. In that regard, mental health programs and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and legally guarante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혼여성의 부모의 문제음주, 양성평등의식이 부부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토석류 수치모델을 활용한 토석류 피해지 유동모의 및 시설물 취약도 분석
- USLE를 활용한 경상북도 산림유역의 잠재적 유출토사량 산정
-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영향요인
- 4대강 재자연화 정책에 따른 갈등의 동태성에 대한 인과순환구조 분석
- 코로나19 원격교육에서의 간호대학 신입생의 역경지수, 학업적 정서조절 및 친구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팬데믹에서의 임상간호사의 정신건강
- XP-SWMM을 이용한 고현천 유역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홍수방어계획 수립
- 결혼이주여성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개선방안
- 지역사회 재난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코어시스템적 접근
- Crisisonomy Vol.17 No.10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