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대강 재자연화 정책에 따른 갈등의 동태성에 대한 인과순환구조 분석
이용수 44
- 영문명
- Analysis of Conflict Dynamics in Re-Naturalization Policy for the 4 Major River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10, 69~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4대강 개발 단계로부터 재자연화 정책으로 전화되는 과정에서 초래된 갈등의 동태적 특성과 여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들의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들을 탐색적으로 규명하여 국민적갈등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지렛대가 무엇인가를 도출하고자한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강의 자연성 회복은 매우 다양하고 무수히 많은 사회경제⋅생태적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매우 동태적인 갈등행태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로서 4대강 개발에서 재자연화 정책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는 시기별로 갈등 표출양상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정부, 정당, 환경단체, 농민, 지역주민 등의 행위자들 간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는 갈등의 인과순환적 강화피드백 구조 또는 완화 피드백 구조가 작동하고 있었다. 4대강 재자연화정책에 따른 갈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지렛대 중의 하나로서 보다 장기적으로 강의 자연성회복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를 축적하는 한편 신뢰할 만한 장기적인 평가와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ynamics of policy conflicts in pursuing the Re-Naturalization Policy of the dismantling the weirs to restore the nature of the 4 major rivers in S. Korea. The study attempted to derive policy leverage points to alleviate the dynamic conflicts created while transitioning from the 4 Major Rivers Development Policy of past government to the Re-Naturalization Policy of current govern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toration of the nature of the rivers involves complex interactions of diverse and numerous socioeconomic and ecological factors, producing highly dynamic conflict behavior over tim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expression of conflict differed by the period in the process of policy transition, and a dominant feedback structure was constructed to identify leverage points in alleviating the intractable conflicts in an arena where various interests groups such as the government, political parties, environmental groups, farmers, and local-area residents, etc. interpla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의 틀
Ⅲ. 4대강 정책 전환과정에 따른 갈등의 동태성과 요인
Ⅳ. 4대강 재자연화 정책 갈등의 동태성에 대한 인과순환구조 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혼여성의 부모의 문제음주, 양성평등의식이 부부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토석류 수치모델을 활용한 토석류 피해지 유동모의 및 시설물 취약도 분석
- USLE를 활용한 경상북도 산림유역의 잠재적 유출토사량 산정
-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영향요인
- 4대강 재자연화 정책에 따른 갈등의 동태성에 대한 인과순환구조 분석
- 코로나19 원격교육에서의 간호대학 신입생의 역경지수, 학업적 정서조절 및 친구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팬데믹에서의 임상간호사의 정신건강
- XP-SWMM을 이용한 고현천 유역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홍수방어계획 수립
- 결혼이주여성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개선방안
- 지역사회 재난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코어시스템적 접근
- Crisisonomy Vol.17 No.10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