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원격교육에서의 간호대학 신입생의 역경지수, 학업적 정서조절 및 친구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6
- 영문명
- The Effect of Adversity Index,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Friend Support on Academic Adjustment of Nursing College Freshman in COVID-19 Distance Educati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10, 45~5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원격교육을 경험한 간호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학업적응 영향요인을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역경지수, 학업적 정서조절, 친구지지는 학업적응과 양의 상관관계를나타냈으며, 간호학과 지원동기와 학업적 정서조절은 학업적응에 영향력이 있으며 설명력은 13.7% 였다. 간호학과를 스스로 지원한 경우와 학업적 정서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적응을 잘 한다는본 연구결과 바탕으로 지원동기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인별 맞춤형 프로그램과 멘토-멘티 활동, 스터디 클럽 활동 등과 같은 비교과 과정 프로그램 개발이 필수적이며 이에 대한 적용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djustment in nursing college freshmen who have experienced distance edu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For data analysis, SPSS/WIN 25.0 program was us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effect on academic adjustment was done with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dversity index,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friend suppor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djustment, an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ason for appling for nursing department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had an effect on academic adjustment. The explanation power was 13.7%.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academic adjustment is good when applying for nursing department by oneself and whe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s high,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reason for application and develop programs tailored to each individual and non-curricular programs such as mentor-mentee activities, study club activities, etc. It is considered that an application plan for that should be prepar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혼여성의 부모의 문제음주, 양성평등의식이 부부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토석류 수치모델을 활용한 토석류 피해지 유동모의 및 시설물 취약도 분석
- USLE를 활용한 경상북도 산림유역의 잠재적 유출토사량 산정
-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영향요인
- 4대강 재자연화 정책에 따른 갈등의 동태성에 대한 인과순환구조 분석
- 코로나19 원격교육에서의 간호대학 신입생의 역경지수, 학업적 정서조절 및 친구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팬데믹에서의 임상간호사의 정신건강
- XP-SWMM을 이용한 고현천 유역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홍수방어계획 수립
- 결혼이주여성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개선방안
- 지역사회 재난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코어시스템적 접근
- Crisisonomy Vol.17 No.10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