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지역 박물관 비 관람객 연구
이용수 64
- 영문명
- A preliminary non-visitor research at museums in Busan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3권 제2호, 643~67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박물관학 관련 타 분야 연구에 비해 비교적 미흡한 박물관 관람객에 초점을 맞추되 새롭게 변모된 관람의 정의를 폭넓게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 박물관에 오지 않는 자발적 비 관람객의 비 방문 이유를 파악 및 분석해 보았다. 부산에 거주하는 자발적 박물관 비 관람객 212명의 주요한 비 방문 이유를 범주화하고, 이를 연령대별로 분석하여 그 이유와 특징을 찾아보았다. 연구결과 총 53개의 개념에서 17개의 하위 범주, 6개의 중간 범주, 2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상위 범주는 크게 박물관 ‘외부 요인’과 ‘내부 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외부 요인’은 박물관이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개인이나 사회 환경에 의한 것이다. ‘내부 요인’은 박물관이 직접적인 비 방문의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내부에서 그 원인을 찾게 되는 것을 말한다. 외부 요인은 ‘개인 환경’과 ‘사회 환경’ 두 가지로 나누어졌는데, ‘개인 환경’은 비 방문객의 개인적인 이유에 영향을 받는 요인이고, ‘사회 환경’은 사회적인 여러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요인이다. 내부 요인은 ‘부정적인 박물관 인식’, ‘박물관 환경’, ‘박물관 콘텐츠’, ‘박물관 기능’ 네 가지로 나누어졌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인 연령대별 비 방문 이유와 특징에는 전 연령대에 나타나는 박물관에 대한 무관심이었다. 다음으로는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세대들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다른 여가 활동에 매진하여 박물관 찾지 않는 것이었다. ‘역사’와 ‘부산’을 매개로 하는 점이 부산 지역민에 매력적이지 않는다는 전제가 성립된다고 볼 수 있다.이번 연구는 박물관을 방문하지 않는 이유를 밝히는 것이 주목적으로 유사 연구가 전무하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독창성이 있음을 밝히며, 이번 연구를 통해서 박물관 관람객 연구 영역의 확장을 생각해 볼 수 있고, 비 방문 이유를 분석하여 부산지역 박물관 관람객 개발 정책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esent a study of non-visitors who do not visit the museum to approach the museum from a new perspective. As an empirical research method, this study surveyed 212 people in their teens to 70s who have never voluntarily visited a museum located in Busan over the past five years. As a result of the study, 17 subcategories, 6 intermediate categories, and 2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53 concepts. The top categori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museum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which are due to individuals or social environments that the museum is not directly involved in. "Internal factors" refer to the fact that museums find the cause internally as a factor of direct non-visit. External factor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ersona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personal environment' is a factor influenced by personal reasons for non-visitors, and 'social environment' is a factor influenced by various social conditions. Internal factor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Negative Museum Recognition," "Museum Environment," "Museum Content," and "Museum Functio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reason and characteristics of non-visit by age group, was indifference to museums appearing in all age groups. The originality of this research lays on the rarity of similar research areas of all sorts and most of all,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expansion of area of museum visitor studies. Also further researches regarding the reasons of non-visits to museums can be discussed based on this research in order to develop provisional visitor strategies to Busan museu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론
Ⅲ. 연구 내용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에 대한 현대적 해석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2호 목차
- 안도 요시시게(安藤義茂)와 부산 근대 화단
- 울산지역 일자리 자동화 위험 분포와 시사점
- 원대 시안론 고찰
- 5대 적멸보궁 입지공간에 풍수지표를 적용한 정량화 연구
- 경력단절여성의 무형식 학습이 주도적 경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하노이 문묘(文廟)국자감(國子監)의 건축물과 현판문(懸板文)에 내재된 중국 유교에 대한 고찰
- 한국어 조각의문문에 대한 소고
- 벤야민의 이미지공간 – 복수의 기억과 아이들의 기억
- 부산광역시 영도구 소재 ‘순직선원위령탑’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해양인식
- 동북아 항만도시의 성장과 재구조화
- 이용악 시에서의 “나라”의 의미 찾기
- 코로나19 환경에서 직업상담사의 비대면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 한영 번역에서 부정 표현의 긍정 표현화 양상
- 부산지역 박물관 비 관람객 연구
- 전공교과와 비교과를 연계한 전공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 중등교원임용시험의 타당성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 프랑스의 ‘카드르(cadre)’ 연구
- 비대면 환경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농담 연구를 위한 매체적 접근의 필요성
-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의 안정성 분석
- 청소년상담자의 작업동맹 경험
- 한국 현대 노인 자살 서사와 심리부검(2)
- 『동국정운(東國正韻)』안의 개음절 복수음을 갖는 입성자에 대한 연구
- 탈냉전이후 중국의 산업화와 해역의 변화
- 현대시에 나타나는 전자기술공간의 사회학적 의미
- 1950년대 사진시 연구
- 한국어 교육과 한중 문화 교류의 상호성에 관한 연구
- 인공지능 교양 교육과정 운영의 의미와 방향 탐색
- 동북아 관문도시의 공간적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