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대면 환경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이용수 72
- 영문명
- A Study on the Learner's Perception of Good Classe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3권 제2호, 307~3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COVID-19 이후 비대면 교수-학습 상황에서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K 대학의 학생들이 비대면 환경에서 경험한 수업에 대한 내용을 작성한 에세이 154편을 분석하였다. 좋은 수업을 분석하기 위한 틀은 대분류, 세부 영역, 하위 요소로 제시하였으며, 대분류는 교수자, 수업 운영, 수업 효과로 구분하였다. 대분류 중 교수자의 경우, 개인 특성과 교수 실행 능력으로 세부 영역을 구분하였으며, 수업 운영의 경우, 도입, 전개, 결말로 세부 영역을 구분하였다. 수업 효과의 경우,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영역에 대한 정의 및 하위 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틀을 토대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비대면 환경에서의 좋은 수업의 특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 측면에서는 교수실행 능력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비대면 환경이라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수자가 학습내용을 얼마만큼 잘 전달하고, 교수매체 등 화상강의시스템을 조절하여 원활한 수업이 잘 진행되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수업 운영 측면에서는 수업 내에서 풍부한 자료를 사용하고, 학습활동을 유도하는 등의 다채로운 교수-학습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전개 단계가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수업 효과 측면에서는 수업에 대한 흥미와 가치관이 변화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즉, 인지적 측면의 지식 이해나 사고력 향상도 중요하지만 내면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특성과 조건들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좋은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차이와 대면과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비교 연구 등을 후속연구로 확대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good classes perceived by learner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and to explore ways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situations after COVID-19. For this purpose, 154 essays written on the lessons experienced by students of K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buk-do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were analyzed. The analysis framework for good class was categorized into instructor, class operation, and class effec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structor, the ability to execute instruction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It is analyzed that in the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situation, the instructor expects how well the teacher delivers the learning content and controls the video lecture system such as the teaching medium for smooth class progress. Second, in terms of class operation, the development stage in which various teaching-learning interactions such as the use of abundant materials in class and inducing learning activities was analyzed as an important factor. Third, in terms of class effectiveness, classes in which the interest and values of class change were perceived as good classes. In other words, althoug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knowledge and improve thinking skills in the cognitive domain, they recognized that classes in which internal changes occur are good classes. It is recommended to expand the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learner for the good classes and the comparative study for the good classes that the learner recognizes in th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nvironment to the subsequent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에 대한 현대적 해석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2호 목차
- 안도 요시시게(安藤義茂)와 부산 근대 화단
- 울산지역 일자리 자동화 위험 분포와 시사점
- 원대 시안론 고찰
- 5대 적멸보궁 입지공간에 풍수지표를 적용한 정량화 연구
- 경력단절여성의 무형식 학습이 주도적 경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하노이 문묘(文廟)국자감(國子監)의 건축물과 현판문(懸板文)에 내재된 중국 유교에 대한 고찰
- 한국어 조각의문문에 대한 소고
- 벤야민의 이미지공간 – 복수의 기억과 아이들의 기억
- 부산광역시 영도구 소재 ‘순직선원위령탑’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해양인식
- 동북아 항만도시의 성장과 재구조화
- 이용악 시에서의 “나라”의 의미 찾기
- 코로나19 환경에서 직업상담사의 비대면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 한영 번역에서 부정 표현의 긍정 표현화 양상
- 부산지역 박물관 비 관람객 연구
- 전공교과와 비교과를 연계한 전공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 중등교원임용시험의 타당성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 프랑스의 ‘카드르(cadre)’ 연구
- 비대면 환경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농담 연구를 위한 매체적 접근의 필요성
-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의 안정성 분석
- 청소년상담자의 작업동맹 경험
- 한국 현대 노인 자살 서사와 심리부검(2)
- 『동국정운(東國正韻)』안의 개음절 복수음을 갖는 입성자에 대한 연구
- 탈냉전이후 중국의 산업화와 해역의 변화
- 현대시에 나타나는 전자기술공간의 사회학적 의미
- 1950년대 사진시 연구
- 한국어 교육과 한중 문화 교류의 상호성에 관한 연구
- 인공지능 교양 교육과정 운영의 의미와 방향 탐색
- 동북아 관문도시의 공간적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