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용악 시에서의 “나라”의 의미 찾기
이용수 43
- 영문명
- Looking for the Meaning of “Nara” in Lee Yong-Ak’s Poems: Continuation of Topos and Change in Territorial Consciousness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3권 제2호, 169~1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이용악 시의 이력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나라”의 의미를 영토적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토포스가 신체적이고 자족적이고 개념적인 공간의식이라면 영토는 정치적이고 유동적이고 상대적인 공간의식이다. 일제강점기에 국경과 맞댄 북방에서 태어나 정치 과잉의 해방 공간과 전후의 혼란기를 거쳐 북한 사회에 안착한 이용악의 일대기에서 이용악의 영토의식은 정체체제의 변화에 따라서 유동한다. 그러한 영토의식은 개인의 토포스와 국가와 민족의 영토 개념까지를 포함하는 “나라”라는 시어로 표현된다. 민족이나 국가라는 언표를 대신해서 “나라”가 쓰인다는 것은 그러한 언표가 불가능한 영토의 상황과 위장의 형태 속에서도 정체성을 표현해야만 했던 토포스의 상황을 동시에 함의한다. 이용악 문학은 총 4번에 걸쳐서 영토의식의 변천을 보여준다. 첫 번째 영토의식은 유년기에 형성된 토포스의 지배를 받는다. 전시체제기에 나타난 두 번째 영토의식은 민족 없는 국가의 상황에서 비롯된다. 해방 후에 나타난 세 번째 영토의식은 민족과 국가가 일치된 환유적인 영토적 상황에서 비롯된다. 마지막인 월북 후에 나타난 영토의식은 토포스와 환유적인 지리적 지표를 초월한 사회주의 이념의 연대에서 비롯한다. 이용악 문학에 나타난 영토의식은 국가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정치 상황의 변화와 그리고 그에 따른 개인의 선택의 양상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이용악 시에서의 “나라”의 의미를 찾는 연구는 직접적으로는 이용악 시의 변천사의 주요 맥락과 간접적으로는 일제강점기부터 국토 분단의 상황에 이르기까지의 한국인(조선인)이 보편적으로 겪었던 민족의식, 국가관, 토포스를 예시해 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Nara” that continuously appears in Lee Yong-Ak’s poems from a territorial perspective. While topos is a physical, self-sufficient, and conceptual spatial consciousness, territory is a political, flexible, and relative spatial consciousness. In the chronology of Lee Yong-Ak who was born in a northern region facing the national borde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settled himself in North Korean society going through the space of liberation of excessive politics and the post-war confusion period, his territorial consciousness flows with changes in the polity. Such a territorial consciousness is expressed as the poetic word, “Nara,” which includes an individual’s topos and the concept of the territory of the state and the nation. “Nara” is used instead of the statement like the nation or the state, which implies the situation of the territory in which such a statement is impossible and the situation of topos in which the identity should be expressed even in the form of disguise simultaneously. Lee Yong-Ak’s literature shows changes in territorial consciousness over four times. The first territorial consciousness is dominated by topos formed in childhood. The second territorial consciousness appearing during the time of the war basis comes from the situation of the state without a nation. The third territorial consciousness appearing after liberation comes from a metonymic territorial situation where the nation and the state are united. Lastly,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after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comes from the alliance of socialist ideology transcending topos and metonymic geographical index.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that appeared in Lee Yong-Ak’s Poems clearly demonstrates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define the identity of the state and consequent pattern of individual choices. The study to look for the meaning of “Nara” in Lee Yong-Ak’s poems will directly demonstrate the history of changes in his poetry and indirectly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e view of the state, and topos the Korean (Joseon) people commonly experienced, including Japanese occupation and division of territory.
목차
Ⅰ. 영토의 정치와 이용악의 정체성
Ⅱ. 영토의식의 양태; 토포스, 민족, 국가
Ⅲ. “나라”의 다양한 의미 맥락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에 대한 현대적 해석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2호 목차
- 안도 요시시게(安藤義茂)와 부산 근대 화단
- 울산지역 일자리 자동화 위험 분포와 시사점
- 원대 시안론 고찰
- 5대 적멸보궁 입지공간에 풍수지표를 적용한 정량화 연구
- 경력단절여성의 무형식 학습이 주도적 경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하노이 문묘(文廟)국자감(國子監)의 건축물과 현판문(懸板文)에 내재된 중국 유교에 대한 고찰
- 한국어 조각의문문에 대한 소고
- 벤야민의 이미지공간 – 복수의 기억과 아이들의 기억
- 부산광역시 영도구 소재 ‘순직선원위령탑’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해양인식
- 동북아 항만도시의 성장과 재구조화
- 이용악 시에서의 “나라”의 의미 찾기
- 코로나19 환경에서 직업상담사의 비대면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 한영 번역에서 부정 표현의 긍정 표현화 양상
- 부산지역 박물관 비 관람객 연구
- 전공교과와 비교과를 연계한 전공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 중등교원임용시험의 타당성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 프랑스의 ‘카드르(cadre)’ 연구
- 비대면 환경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농담 연구를 위한 매체적 접근의 필요성
-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의 안정성 분석
- 청소년상담자의 작업동맹 경험
- 한국 현대 노인 자살 서사와 심리부검(2)
- 『동국정운(東國正韻)』안의 개음절 복수음을 갖는 입성자에 대한 연구
- 탈냉전이후 중국의 산업화와 해역의 변화
- 현대시에 나타나는 전자기술공간의 사회학적 의미
- 1950년대 사진시 연구
- 한국어 교육과 한중 문화 교류의 상호성에 관한 연구
- 인공지능 교양 교육과정 운영의 의미와 방향 탐색
- 동북아 관문도시의 공간적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