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hanges in the Meaning of Seon-bi through the Korean translation Classic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 저자명
- 김덕환(Kim, Dukhwan)
- 간행물 정보
- 『국제문화연구』Vol.14 No.2, 173~1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first compared the use of the word ‘Seon-bi’ in the Korean translation classic of the Joseon Dynasty with the uses of ‘儒’ and ‘士’ in their original Chinese characters to find out the difference. Prior to the 16th century, ‘Seon-bi’ were referred to as scholars studying Confucianism or strategists with literary and martial arts skills, and in the Chinese language, it was mainly called 儒 . On the other hand, 士 was used as a word for a Confucian scholar and a member of the royal court or low aristocratic class. After the 16th century, the meaning of ‘Seon-bi’ changed somewhat, and it was used as a term to refer to a person who realized the value of Confucianism, such as defending the national crisis or performing righteous acts, as a Confucian scholar without a position. It was written as 士 or 士人 . However, from the 18th to the 19th centuries, there was a phenomenon in which both 儒 and 士 were still written as ‘Seon-bi’ while translating Chinese Confucian scriptures as well as Korean literature, causing a lot of confusion about the meaning of ‘Seon-bi’. 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ancient Chinese texts, ‘士’ should not be understood unconditionally as a ‘Seon-bi’, and when discussing Korean ‘Seon-bi’ spirit, we should not confuse the Chinese character ‘士’ with the Chinese word ‘士’, which means the management of the low aristocratic class or the court, in the Joseon Dynasty.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으로 본 선비의 어원
Ⅲ. 한글고전에 나타난 선비의 의미 변화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Journal of International Culture Vol.14 No.2 목차
- 길 떠남’과 ‘시대와의 불화’: 현대 러시아 영화 연구
- 상하이 時代曲을 통해 본 중국 근대 유행음악의 혼종성 연구
- 라틴엑스(Latinx) 개념의 등장과 몇 가지 쟁점들
- Концепт мужчина в русском и корейском языках
- 给 구문의 고찰
- UN SDGs의 교육을 위한 국제 문화콘텐츠로서의 게임 기획 수업
- 한글고전을 통해 본 선비의 의미 변화 고찰
- 도심지 역사·문화관광이 방문객의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 21세기 첫 10년의 의미
- 번역전략: 자국화와 이국화에 관한 연구
-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미국 연구자 담론과 국제관계론적 재해석
-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장애아동의 놀 권리 탐색
- 울리히 벡 위험사회에서의 민간경비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년 동계학술대회 목차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년 동계학술대회 프로그램
- 인공지능(AI) 기술에 의한 저작물의 이용과 권리 제한 -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 비교법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