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카소와 현대 도자조형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Study on Picasso Ceramics and Modern Ceramics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저자명
- 고수화(Go, Su-Hwa)
- 간행물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한국도자학연구 Vol.16 No.3, 21~3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자는 ‘실제적인 사용에 적합한지’라는 시각적 틀 안에서 구속받기 쉬운 영역이다. 이 기능성의 영역에 머물러 있었던 도자의 한계를 뛰어넘어 주제보다는 색채와 흙 본연의 물성을 추구하는 현대 도자조형으로 전환된 계기로는, 당시의 회화 양식이 가지고 있었던 추상표현주의적 요소가 도자에 끼친 영향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추상, 입체, 상징적 회화 양식의 대표적 인물이었던 파블로 피카소는 형태의 재해석을 기반으로 사실주의, 입체파, 초현실주의에 영향을 준 인물이며 회화, 조각, 도자기 등의 오브제 및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작품을 남긴 작가이다. 그중에서도 피카소의 도자는 피카소의 회화적 요소가 흙 본연의 물성과 덩어리의 직관적 모티브를 바탕으로 도자 조형적 요소와 절묘하게 결합하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피카소의 도자조형에 나타나는 표현 방식과 회화성을 분석하고 그 표현 양식이 현대 도자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작업은 현대 도자의 특징과 흐름을 이해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그의 도자 작품을 보면 피카소 회화 양식의 특징인 입체주의, 상징주의, 비정형적 요소가 발견되며 실증주의적 철학을 바탕으로 한 자신의 자서전적 일상과 체험이 반영된 작품 역시 볼 수 있다. 또한 흙 덩어리를 직관적으로 관찰하여 표현한 오브제적 도자 작품에서도 그의 회화 양식이 드러나면서 독특한 개성을 드러낸다. 도자는 ‘실제적인 사용에 적합한지’라는 시각적 틀 안에서 구속받기 쉬운 영역이다. 이 기능성의 영역에 머물러 있었던 도자의 한계를 뛰어넘어 주제보다는 색채와 흙 본연의 물성을 추구하는 현대 도자조형으로 전환된 계기로는, 당시의 회화 양식이 가지고 있었던 추상표현주의적 요소가 도자에 끼친 영향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추상, 입체, 상징적 회화 양식의 대표적 인물이었던 파블로 피카소는 형태의 재해석을 기반으로 사실주의, 입체파, 초현실주의에 영향을 준 인물이며 회화, 조각, 도자기 등의 오브제 및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작품을 남긴 작가이다. 그중에서도 피카소의 도자는 피카소의 회화적 요소가 흙 본연의 물성과 덩어리의 직관적 모티브를 바탕으로 도자 조형적 요소와 절묘하게 결합하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피카소의 도자조형에 나타나는 표현 방식과 회화성을 분석하고 그 표현 양식이 현대 도자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작업은 현대 도자의 특징과 흐름을 이해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그의 도자 작품을 보면 피카소 회화 양식의 특징인 입체주의, 상징주의, 비정형적 요소가 발견되며 실증주의적 철학을 바탕으로 한 자신의 자서전적 일상과 체험이 반영된 작품 역시 볼 수 있다. 또한 흙 덩어리를 직관적으로 관찰하여 표현한 오브제적 도자 작품에서도 그의 회화 양식이 드러나면서 독특한 개성을 드러낸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method, Pablo Picasso sets turning point between paintings and ceramics on the boundary of contemporary and modern art, influencing on not only Cubism, Realism, and Surrealism, but also various works as is the case with objects such as painting, sculpture, and ceramics in a range of fields. Above the rest, Picasso guided abstract expressionism artists who sought color and material nature property rather than theme of work to the new genre in consequence of overcoming functional limitation of ceramics. Since the late 1940s, he has been attracted to raw materials especially on soil and generated numerous works of ceramics on the rest of his life. Although he had painted on plates, bowls, vases, and jugs produced by other ceramists at the first introduction, it w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object characteristic by means of intuitive motive utilization with intrinsic physical properties and mass of the soil and objects, which led to new artistic combination of paintings and ceramics. These new approach of Picasso impacted on abstract expressionism ceramics to exceed outside of boundaries with unlimited approaches as long as there are artistry and creativity. Peter Volkers, the leader of abstract expressionism ceramics, had initially used a technique refereed to Picasso’s ceramics and he found his own work style afterwards. Peter Volkers has also tried a variety of conceptual approaches in different genres on three dimensions. Picasso’s ceramics has been regarded as the subsets of his paintings thus far. Whereas creative and ingenious arts of Picasso had been flatly demonstrated on his paintings, his works were more abundantly expressed with stereoscopic vision after Picasso encountered the field of ceramics. The exploit of Picasso opened new potentiality to stand independent artistic status as well as the possibility to seek new paradigm and liberal direction on ceramics according to the view and philosophy of Picasso.
목차
개요
Abstract
I. 서론
II. 피카소 도자 배경 및 분석
III. 피카소와 현대 도자
V. 결론
그림 목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카소와 현대 도자조형에 관한 연구
- 당삼채 진묘수(镇墓兽) 도용(陶俑) 연구
- 충남지역 고려시대 치미의 재료학적 특성 비교 연구
- 한국도자학회 정관 외
- 티베트 흑도자기 연구
- 중국 송대(宋代) 도자기 완(碗)의 장식기법 연구
- 조선 백자 여의두문의 현대적 활용성 연구
- 겹의 형상적 특성을 응용한 도자 표현 연구
- 고대 경덕진 가마의 특징과 발전과정
- 섬유재를 활용한 도자 표현 연구
- 아연결정유의 소지별 결정 생성 결과에 관한 연구
- 도예가 하마다 쇼지(浜田庄司)의 후기 활동과 조선 도자의 조형적 영향
- 중국 치박금삼채(淄博金三彩) 도자 연구
- 중국 신석기시대 대표적인 문화유형별 토기 장식 문양의 특징 분석 연구
- 제주 토양 〈화산회토(火山灰土), 비화산회토(非火山灰土)〉을 이용한 도예 유약 개발 연구
- 레이저 커팅기를 적용한 도자 장식기법 연구
-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도자공예 창작스튜디오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