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섬유재를 활용한 도자 표현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Research on Ceramic Expressions of Fiber Materials Application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저자명
- 오가(Wu, Ke)
- 간행물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한국도자학연구 Vol.16 No.3, 139~1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자 공예는 예술 범위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장르이다. 중국 극동 아시아를 포함한 다양한 역에서 오랜 실천을 통해 도자의 역사를 축척했기 때문에 재료가 가진 특성과 풍부한 장식 기법으로 표현력을 더욱 극대화하였다. 현재까지 사회경제와 문명의 신속한 발전과 함께 새로운 변화와 진보를 거듭하고 있다. 또한 동서양의 활발한 교류는 그 발전에 가속을 가한다. 아울러 이러한 공예의 창의적 의식 통합은 현대 도예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공예에 관한 연구 방향은 장식, 조형, 형식 등의 기초 연구에서 새롭게 발전되고 있으며, 더욱 흥미롭고 창의적인 연구 과제로 바뀌고 있다. 그 중 섬유재를 이용한 창작 유형은 독자적으로 표현 형태중 하나이다 . 이러한 표현 형식이 나타내는 효과는 복제할 수 없는 독창성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섬유재의 특성과 재질에 대한 연구, 그리고 해당 연구와 관련한 도예가와 도자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자 표현에서의 섬유재 활용과 조형적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영문 초록
Ceramic art is an independent art subject within the scope of art. Our ancestors and the ancestors of some countries and regions in the world, such as Egypt, India, Greece, Persia and southwest Asia, developed the art of ceramics in long-term practice. Due to the plasticity of ceramics and the richness of decorative techniques, the expressive force of ceramic language is greatly enriched.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and civilization, ceramic art is undergoing rapid changes and progress. Ceramic art, as a pure form of artistic expression, has made great progress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and the collision of Chinese and western cultures. The integration of ceramic art innovation consciousness is undoubtedly conduciv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ceramic ar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and civilization. Ceramic art is changing and progressing with each passing day.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and exploration of decoration, shape and form,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discipline of ceramics has some newer, more interesting and creative research topics. Among them, the use of fiber materials and ceramic art creation to do a combination of examples is common. The artistic effect of this form of artistic expression has an originality that cannot be duplicated in this paper, the application and significance of fiber materials in the performance of ceramics are explored through the study of the shape and material of fiber materials and the analysis of ceramics and ceramic works related to this kind of research.
陶瓷艺术是艺术范畴内的一门独立存在的艺术学科,我们的祖先和世界上一些国家和地区,如埃及、印度、希腊、波斯、西南亚的先民们,在长期的实践中发明了陶瓷艺术。由于陶瓷具有的可塑性和装饰手法的丰富性,因此极大丰富了陶瓷语言的表现力。陶瓷艺术也随着社会经济和文明的迅速发展中有着日新月异的变化和进步。陶瓷艺术作为一种纯艺术表现形式在当今现代社会的发展与全球化进程中、中西文化的碰撞中,都得到了较大发展。整合陶瓷艺术创新意识,无疑有助于现代陶艺的发展。陶瓷学科的研究方向在装饰、造型、形式等研究探索的基础上还有了一些更新的、更富有趣味性、创意性的研究课题。在这其中,利用纤维材料来与陶瓷艺术创作做结合的范例也是屡见不鲜。这种艺术表现形式展现出来的艺术效果具有其无法复制的独创性。 本文通过对纤维材料的造型和材质研究以及对此类研究相关的陶艺家和陶瓷作品进行分析,来探索纤维材料在陶瓷表现中的应用和意义。
목차
개요
Abstract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도표와 그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카소와 현대 도자조형에 관한 연구
- 당삼채 진묘수(镇墓兽) 도용(陶俑) 연구
- 충남지역 고려시대 치미의 재료학적 특성 비교 연구
- 한국도자학회 정관 외
- 티베트 흑도자기 연구
- 중국 송대(宋代) 도자기 완(碗)의 장식기법 연구
- 조선 백자 여의두문의 현대적 활용성 연구
- 겹의 형상적 특성을 응용한 도자 표현 연구
- 고대 경덕진 가마의 특징과 발전과정
- 섬유재를 활용한 도자 표현 연구
- 아연결정유의 소지별 결정 생성 결과에 관한 연구
- 도예가 하마다 쇼지(浜田庄司)의 후기 활동과 조선 도자의 조형적 영향
- 중국 치박금삼채(淄博金三彩) 도자 연구
- 중국 신석기시대 대표적인 문화유형별 토기 장식 문양의 특징 분석 연구
- 제주 토양 〈화산회토(火山灰土), 비화산회토(非火山灰土)〉을 이용한 도예 유약 개발 연구
- 레이저 커팅기를 적용한 도자 장식기법 연구
-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도자공예 창작스튜디오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