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mperors Mausolea of the Tang Dynasty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명
- 장건임(Zhang Jianlin)
- 간행물 정보
- 『백제연구』백제연구 제65집, 55~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5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唐代 황제릉은 唐末의 昭宗, 哀帝를 제외하고 모두 陝西省 西安 북쪽의 황토 고원과 北山 南麓 일대에 매장되어 있다. 수십 년에 걸친 고고 조사와 발굴을 통해 陵園유적의 배치와 구조는 이미 기본적인 모습이 확인되었다. 당대 황제릉은 능원 건축, 神道 그리고 네 문의 석각, 침궁, 배장묘 및 기타 부속건축물로 구성되어 있다. 唐代 근 300년에 걸친 황제릉은 기나긴 발전과 변화의 과정을 겪었다. 능원의 평면 배치, 능원의 석각, 침궁의 형식, 배장묘 등에 근거하면 그 발전과 변화의 단계는 총 네 단계로 구분되고, 이는 唐代 陵寢制度의 시작 단계, 정형화 과정 및 점진적 쇠락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All the Tang dynasty emperors, except for Emperor Zhaozong and Aidi, were buried either at Huangtuyuan or on the southern slope of Mr. Beishan, both of which are north of Xi`an in Shaanxi province.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burial sites of these mausoleum complexes are very clear after decade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surveys. That arrangement and structure generally consists of a burial mound enclosed within a wall, four stone gates, and a spiritual path lined with stone sculptures. In addition, outside the wall are a chamber palace, attendant tombs, and other surrounding buildings. The mausoleum complexes were developed over a period of 300 years during the Tang dynasty. They can be analyzed into four periods based on their layout, architectural form, and the style of their sculptures. Studying these complexes reveals their history from their early establishment through the height of their formation to their gradual decline.
목차
Ⅰ. 당대 제릉의 분포
Ⅱ. 당대 제릉의 封土, 陵山 그리고 玄宮
Ⅲ. 당대 제릉 陵園의 구성 요소와 변화
Ⅳ. 당대 제릉의 寢宮(下宮) 유적
Ⅴ. 당대 제릉의 부속 건물
Ⅵ. 당대 제릉의 陪葬墓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범죄사건통지서』 발굴과 양주 부평리 만세시위 재구성
- 조선총독부의 토지개량사업(1926~1936) 제도 운영과 한계 - ‘대행기관 체계’의 형성과 균열
- 한국근현대사연구 제113집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