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h/ correspondence between Old Korean Baekje and Japanese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명
- 최경애(Choi Kyungae)
- 간행물 정보
- 『백제연구』백제연구 제65집, 185~20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백제어의 자음체계를 고찰하고, 백제어 자음 /p/에서 유래한 것처럼 보이는 일본어어휘 속의 자음 분절음 /h/가 어떻게 현재의 그것으로 정착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천의 통시적, 공시적 근거 및 문자체계상의 근거를 제시하고, 그 정착과정을 최적이론으로써 분석하고자 한다. 백제어 /p/에 근원을 둔 현대 일본어 어휘 속의 /h/가 분절음 최적성(segmental optimality)과 관련된 제약서열의 변동에 의하여 현재의 일본어 어휘 안에 정착되었음을 보임으로써 일본어의 일부 어휘의 어원이 백제어에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이 여전히 논쟁이 분분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역사적 관련성에 조금이나마 근거를 부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nalysis of how the segment /p/ in Old Korean Baekje has been settled down as /h/ in Japanese 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I suggest not only diachronic and synchronic evidence but also strong evidence in Japanese writing system of syllabary for this historical sound change.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segment /h/ in some Japanese words has its origin in the Korean segment /p/, but no scholar suggested a systematic analysis on the basis of phonological theory. I explain how the Old Korean /p/ had been transformed into /h/ in Japanese by constraint reranking, providing diachronic and synchronic evidence, and prove that some Japanese words with /h/ have their origin at the Korean words with /p/. Finally, I verify that the etymology of some Japanese vocabulary lies in Old Korean, Baekje. I hope this might provide some evidence to Korean and Japanese historical connections which are still debated in both countries.
목차
Ⅰ. 머리말
Ⅱ. 백제어의 자음체계
Ⅲ. 백제어와 일본어 사이의 /p/~/h/ 대응
Ⅳ. 일본어에서의 [p]~[h] 교체
Ⅴ. 최적성 이론에 의한 /p/~/h/ 대응 분석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범죄사건통지서』 발굴과 양주 부평리 만세시위 재구성
- 조선총독부의 토지개량사업(1926~1936) 제도 운영과 한계 - ‘대행기관 체계’의 형성과 균열
- 한국근현대사연구 제113집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