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유프로젝트’를 통해 본 대학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이용수 149
- 영문명
-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of Student Experience in a Service Learning Course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정나리(Chung, Nary) 이교일(Lee, Kyo Il) 하영명(Ha, Young Mou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1호, 189~20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성교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을 통해 현 고등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지는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한다. A대학의 대표적인 인성교과목인 ‘자유프로젝트’ 운영사례와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생존’의 위협이 극대화된 현실 세계와 인성교과목이 제시하는 이상 사이를 진동하고 있음이 관찰된다. 팬데믹으로 인해 더욱 공동체성이 제한되는 대학의 환경에서 학생들은 파편화되었고 학점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나, 인성교과목을 통해 개인과 사회 그리고 환경의 상호연결성을 이론적, 실천적으로 고민함과 동시에 타자와 소통하며 관계맺음을 실험하고 성장을 경험 하였다. 인성역량을 함양하고 교과목의 목표에 도달하며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줄 뿐 아니라, 교과목 이 지향하는 내재적 가치와 거리를 두며 신자유주의적 요구에 응답하는 한계도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plor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ways in which students experience a service learning course in higher education. Drawing on a set of data collected from running the ‘Freedom Project’, and through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1 students who have taken this course, we found that students were oscillating between the ideal world that the course presents and emphasizes through its curriculum and the real world, wherein competition and survival are the dominant values. Although students were fragmented and sensitive to grades given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they actively explored diverse social problems to which they tried to find solutions. Moreover, they were able to obtain various competencies that character education aims to cultivate through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ir project. However, some students distanced themselves from the values the course attempted to pursue, in response to neoliberal requirements.
목차
1. 서론
2. 대학생으로 생존하기
3. 타자와 공존하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 다양성을 위한 음악 교양교육
- 디지털시대 교수학습법으로서 연결주의 수업 사례 연구
- 글쓰기 자기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자유교육의 성격 다시 보기
- 역량기반 교양필수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 한국 대학의 한국사 교양교육과 역사학
- 배려 교육을 통한 윤리적 관계 정립
-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형태 초점과 과제 중심의 절충적 수업 모형
- 메타 계량 활용 한국어 필수 학술기본어휘집 개발 기초 연구
- 일본 대학의 후기교양교육 실태조사 연구
- 요약적 사고의 시각화 과정으로서의 구조도 활용 교수 방안
- ‘자유프로젝트’를 통해 본 대학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4년제 대학의 교양교육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 탐색 연구
- 〈고전읽기와토론〉 강좌에서 자기주도학습 역량증진을 위한 노션(Notion)앱 활용 사례연구
- 전문대학 기초교양컨설팅 현황 연구
- 인류세를 위한 교양, 빅 히스토리
- 비교과프로그램 모듈화를 통한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 대학 교양수업의 비대면 교수법 연구
- 교양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목차
-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초교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고찰
- Students’ Perceptions of L1 Use in Online EFL Classes: A Case Study of Beginner-Level Korean College Students
- 비인지적 능력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