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형태 초점과 과제 중심의 절충적 수업 모형
이용수 1,819
- 영문명
- Instructional Design of Korean Grammar Education Centered on FonF and TBLT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수진(Park, Sue Jin) 최보선(Choi, Boseo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1호, 255~26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전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형태 초점 교수법 관련 연구들을 메타 분석하였으며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 형태와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메타 분석한 결과,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형태 초점 교수법 연구들은 조사와 어미의 문법 항목 위주로, 입력보 다 출력 중심으로, 출력 중심에서는 듣고 다시 쓰기와 의식 고양을 주로 다룬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제 중심 교수법 연구들은 문법 항목보다 기능에 치중하거나 형태 초점과 관련한 것들이 중심을 이루었으며, 두 교수법 모두에서 ‘과제’를 혼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형태 초점과 과제 중심 교수법에서 동일하게 불리고 있는 과제를 각각 ‘기법’과 ‘활동’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 형태와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습자 91%가 TTT 모형으로 문법을 학습한 경험이 없으나 과제를 상호작용함으로써 문법을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습자 들이 실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SNS를 과제로 활용하여 형태와 의미에 초점을 두면서 유창성과 정확성을 신장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수업 모형을 통해 학습자들은 ‘-아/어지다’, ‘-게 되다’를 의미와 용법을 스스로 인지하고 점검하면서 의사소통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meta-analyz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onF (Focus on Form) of Korean grammar education.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the grammar learning forms of the students. Finally, it presented a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classes. Studies related to FonF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mainly dealt with grammatical markers and endings, focusing on output rather than input, as well as focusing on dictogloss and consciousness-raising tasks. Also, studies related to TBLT (Task-based Language Teaching) focused on functions or forms rather than grammar items. However, it is necessary for us to understand the tasks in FonF and TBLT methods that go by the same name by dividing them into ‘technique’ and ‘activity’. In addition, 91% of learners said that they did not have experience learning grammar with the TTT model, but that it was necessary to learn grammar by doing task activities while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a class design that can improve fluency and accuracy through the use of practical tasks, while still focusing on form and meaning, by using SNS (which learners often encounter in real life). Through this class design, learners experience the communication process while self-recognizing and checking ‘-아/어지다’ and ‘-게 되다’, which have the same meaning as ‘chang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한국어교육의 형태 초점 교수법 메타 분석
4. 형태 초점과 과제 중심의 수업 모형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 다양성을 위한 음악 교양교육
- 디지털시대 교수학습법으로서 연결주의 수업 사례 연구
- 글쓰기 자기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자유교육의 성격 다시 보기
- 역량기반 교양필수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 한국 대학의 한국사 교양교육과 역사학
- 배려 교육을 통한 윤리적 관계 정립
-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형태 초점과 과제 중심의 절충적 수업 모형
- 메타 계량 활용 한국어 필수 학술기본어휘집 개발 기초 연구
- 일본 대학의 후기교양교육 실태조사 연구
- 요약적 사고의 시각화 과정으로서의 구조도 활용 교수 방안
- ‘자유프로젝트’를 통해 본 대학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4년제 대학의 교양교육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 탐색 연구
- 〈고전읽기와토론〉 강좌에서 자기주도학습 역량증진을 위한 노션(Notion)앱 활용 사례연구
- 전문대학 기초교양컨설팅 현황 연구
- 인류세를 위한 교양, 빅 히스토리
- 비교과프로그램 모듈화를 통한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 대학 교양수업의 비대면 교수법 연구
- 교양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목차
-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초교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고찰
- Students’ Perceptions of L1 Use in Online EFL Classes: A Case Study of Beginner-Level Korean College Students
- 비인지적 능력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