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분조절내사시 환자에서 아트로핀을 이용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유용성
이용수 19
- 영문명
- Usefulness of Cycloplegic Refraction with Atropine in Patients with Partially Accommodative Esotr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태연(Tae Yeon Kim) 전혜신(Hyeshin Jeo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3,number1, 69~7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부분조절내사시 환자의 조절마비굴절검사에서 atropine (Isopto atropine 1% eye drop??, Alcon, Fort Worth, TX, USA)의 유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부분조절내사시로 진단 후 cyclopentolate와 atropine을 각각 사용한 조절마비굴절검사를 모두 시행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Atropine을 사용한 검사 이후 안경을 교체한 경우 1군, 그렇지 않은 경우 2군으로 하여 두 군의 임상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Atropine 조절마비굴절검사값을 기준으로 안경을 교체한 경우 이에 따른 사시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23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고 평균 나이는 58.2 ± 22.3개월이었다. 두 검사의 간격은 평균 5.2 ± 4.1개월이었다. Atropine을 사용한 조절마비굴절검사 후 구면렌즈대응치는 +3.04 ± 1.70 diopters (D)로, cyclopentolate 사용 시의 +2.31 ± 1.75 D보다 컸다(p=0.001). 19명(83%)의 환자가 1군, 4명(17%)의 환자가 2군에 포함되었다. 두 군의 임상양상의 차이는 없었다. Atropine을 사용한 검사 후 안경을 교체한 1군에서 안경 착용 시 근거리 사시각이 28.7 ± 14.0 prism diopters (PD)에서 20.7 ± 11.6 PD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2).
결론: 부분조절내사시 환자에서 atropine을 이용한 조절마비굴절검사는 잠복원시 발견 및 향후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atropine (Isopto atropine 1% eye drops??; Alcon, Fort Worth, TX, USA) for cycloplegic refraction in patients with partially accommodative esotropia.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partially accommodative esotropia who underwent cycloplegic refraction using both cyclopentolate and atropine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November 2017 and December 2020. Patients who replaced their glasses after cycloplegic refraction with atropine were included in group 1 and all other patients were included in group 2. Clinical features and the angle of ocular devi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is study included 23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8.2 ± 22.3 months and mean interval between the two examinations of 5.2 ± 4.1 months. Spherical equivalent was larger after cycloplegic refraction using atropine compared to cyclopentolate (+3.04 ± 1.70 and +2.31 ± 1.75 diopters, respectively; p = 0.001). Groups 1 and 2 included 19 (83%) and 4 (17%) patients, respectively. Clinical characteristic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In group 1, the angle of ocular deviation at near fix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8.7 ± 14.0 to 20.7 ± 11.6 prism diopters (p = 0.002) after correction of the refractive error.
Conclusions: Cycloplegic refraction with atropine may be useful for detecting latent hyperopia and managing strabismus in patients with partially accommodative esotropia.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축장에 따른 안축장, 전방깊이, 각막곡률, 각막난시 차이
- 안검 모낭충 감염군과 안구건조증 환자 중 비감염군에서의 마이봄샘 소실 비교
- 원발개방각녹내장 및 녹내장의증 환자에서 점안 안압하강제 사용이 각막생체역학인자에 미치는 영향
- 데스메막박리 자동각막내피층판이식술 후 발생한 난치성 반복각막진무름의 치료
-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에탐부톨에 의한 독성시신경병증에서의 시신경 주위 혈관 분석
- 샤임플러그-플라시도원반 방식 사진기와 새로운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의 전안부 계측치 비교
- 전방내 리도카인 마취하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독성전방증후군 4례
- 부분조절내사시 환자에서 아트로핀을 이용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유용성
- 원발개방각녹내장, 정상안압녹내장 및 원발폐쇄각녹내장에서 시야진행의 비교 연구
- 망막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초기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망막혈관 직경의 변화
- 한국 소아의 정상안에서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황반부 혈관 분석
- 마스크 착용이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에 미치는 영향
- 면역 결핍 상태가 아닌 당뇨 환자에서의 거대세포바이러스망막염
- 양안성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으로 나타난 샘암종
-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에서 발생한 Brevundimonas species에 의한 각막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