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denocarcinoma Associated with Bilateral, Diffuse, Uveal Melanocytic Prolifer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정우현(Woohyun Chung) 김소희(So Hee Kim) 최윤아(Youna Choi) 최승권(Seung Kwon Choi) 이재정(Jae Jung Lee) 박성후(Sung Who Park) 변익수(Ik Soo Byo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3,number1, 107~11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양안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으로 나타난 위 샘암종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8세 남자가 3개월 전 발생한 양안 시력저하 주소로 내원하였다. 당뇨 외 특이 병력은 없으며, 4년 전 양안 백내장수술을 받았다. 교정시력은 우안 안전수지, 좌안 20/160로 측정되었고, 안압 및 전안부는 정상이었다. 양안 안저에서 여러 개의 둥근 모양의 반점이 후극부에 관찰되었고, 망막하 망막색소상피 과색소 및 탈색소 병변이 동반된 삼출망막박리가 관찰되었다. 빛간섭단층촬영에서 색소성 병변은 시세포와 망막색소상피 사이에서 과반사를 보이는 망막하 삼출물로 확인되었고 망막하액과 망막내액이 관찰되었다. 양안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으로 진단 후 영상학적 전신 평가를 시행하였다. 복부 컴퓨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악성종양으로 의심되는 종괴가 다수 관찰되었다. 상부위장관 내시경 조직검사를 시행 후 샘암종으로 진단되었다.
결론: 원발악성종양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양안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은 다발성의 색소성 망막하 삼출물을 동반한 삼출망막박리로 나타나며, 이와 같은 안저 소견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전신검사를 통해 악성종양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We report bilateral, diffuse, uveal melanocytic proliferation caused by a stomach adenocarcinoma.
Case summary: A 78-year-old male complained of visual impairment 3 months in duration. He had diabetes and had undergone cataract surgery on both eyes 4 years prior. Hi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counting fingers in the right eye and 20/160 in the left eye. Both intraocular pressures were normal. The anterior segments yielded no specific findings. The maculae exhibited multiple, round, patchy, pigmented or depigmented lesions with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Fluorescein angiography revealed multiple hyperfluorescent lesion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vealed that the hyper-reflective exudates lay between the neurosensory retina and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We diagnosed bilateral, diffuse, uveal melanocytic proliferation and performed a systemic evaluation.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several mass lesions in the lung, stomach, and lymph nodes; these appeared to be malignant. An esophagogastroduodenoscopic biopsy confirmed that the lesions were adenocarcinomas.
Conclusions: A bilateral, diffuse, uveal melanocytic proliferation induced by a primary malignant tumor exhibited multiple, pigmented subretinal exudates associated with exudative macular retinal detachment. In patients with such finding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malignant tumor status of remote organs.
목차
증례보고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에서 발생한 Brevundimonas species에 의한 각막염
- 면역 결핍 상태가 아닌 당뇨 환자에서의 거대세포바이러스망막염
- 원발개방각녹내장, 정상안압녹내장 및 원발폐쇄각녹내장에서 시야진행의 비교 연구
- 망막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초기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망막혈관 직경의 변화
- 마스크 착용이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소아의 정상안에서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황반부 혈관 분석
- 안축장에 따른 안축장, 전방깊이, 각막곡률, 각막난시 차이
- 양안성 미만성 포도막 멜라닌세포 증식증으로 나타난 샘암종
- 원발개방각녹내장 및 녹내장의증 환자에서 점안 안압하강제 사용이 각막생체역학인자에 미치는 영향
- 샤임플러그-플라시도원반 방식 사진기와 새로운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의 전안부 계측치 비교
-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에탐부톨에 의한 독성시신경병증에서의 시신경 주위 혈관 분석
- 데스메막박리 자동각막내피층판이식술 후 발생한 난치성 반복각막진무름의 치료
- 부분조절내사시 환자에서 아트로핀을 이용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유용성
- 전방내 리도카인 마취하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독성전방증후군 4례
- 안검 모낭충 감염군과 안구건조증 환자 중 비감염군에서의 마이봄샘 소실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Innovation in Legal Practice in the Digital Age - Taking Model-Based Legal Reasoning as an Example
- Interpretation, Integrity, and the Right Answer: An Analysis of the Core Propositions in Dworkin's Legal Theory
- Research on Legal Governance of Fals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