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sign of Nail Water Decals based on Andy Warhol’s Work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은지(Eun-Ji Lee) 정숙영(Sook-Young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2권 제4호, 159~16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2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nail design, using the water decal technique through which nail patterns can be created with a simple treatment and Andy Warhol’s works. In this study, Andy Warhol’s works were chosen because most of them were designed, silk screen painting. The fact that a lot of works can be produced identically at a time is similar to water decals in which an artwork can be reproduced through a print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horten the time taken to create nail patterns through water nail decals and add artistic value to such elaborate patterns, making them more useful in practice,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nail technicians are able to design customers’ favorite nail patterns in person and give them treatments, enhancing design efficiency. Second, it is able to create complicated design in a quick and easy fashion, using hand painting or other styling techniques. Third, this study suggests infinite potential for creative design by offering diverse patterns, not just standardized ones. This study has enhanced customers’ satisfaction by developing and providing diverse nail patterns, using water nail decals.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has become a turning point to suggest unique design, escaping from dull and monotonous one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diverse nail patterns with diverse motives and through continued R&Ds on creative techniqu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자 작품분석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2권 제4호 목차
- 뷰티산업 프랜차이즈의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코스메슈티컬 기반 약물 전달형 마이크로 패치 시스템의 개발
- 대중매체압력에 나타난 신체불만족과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
- 취업스트레스의 행동요인과 직업능력향상행동,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
- 스파서비스의 인식과 프로그램 실태에 관한 연구
- 앤디워홀 작품을 모티브로 한 네일 워터데칼 제작
- 한국 전통 매듭 패턴을 소재로 한 융합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 헤어디자이너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톤 온 톤&톤 인 톤 배색기법을 적용한 헤어 디자인 작품 연구
- 전국기능경기대회 헤어디자인 과제분석
- 코로나 19 상황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홈 뷰티기기 가치의식과 선택속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 부모의 소비가치가 영유아 비건화장품의 구매결정속성과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메타인지와 잡크래프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미용종사자의 심리적 안녕감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 미용 전공 대학생의 비교과프로그램 참여시 개인의 환경적 요인과 참여 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학습 정서의 매개효과
- 두피관리 행동과 맞춤형 화장품 인식 조사
- 퍼스널 컬러 자가진단과 관능평가의 차이에 관한 연구
- 미용실 노쇼(예약부도)로 인한 생산성 하락 대응방안 연구
- 반영구화장 염료의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교육방안
- 퍼스널 컬러 기반의 헤어컬러 디자인 개발에 따른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 호미 바바(Homi K. Bhabha)의 ‘혼종성’이 투영된 디아스포라(Diaspora) 내면에 대한 바디아트 표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