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어학회
- 저자명
- Kyongjoon Kwon
- 간행물 정보
- 『슬라브어 연구』제24권 제2호, 291~30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paper investigat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Old Church Slavonic tŭ (tъ)-aorist, which is restricted to the 2nd and 3rd singular forms in the place of person and number inflection, and to some resonant stem in the domain. Crucial issues, such as (i) how to classify those anomalous aorists, (ii) what morphological status to be assigned to the specific morpheme –tъ, and (iii) how to motivate it, have not reached agreed-upon conclusion, have been addressed with a detailed preliminary study of the aorist system in Old Church Slavonic. First, I suppose that either the time span between developments of root aorist and sigmatic aorist was so short or the overlapping period was so long that two distinct formations can be seen as subject to a single rule. Therefore, there is no contradiction in using terms like sigmatic-root and sigmatic-dental aorists. That is, tъ-aoris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rigorously classified either as root or as sigmatic aorist. Second, the consonant t in this specific aorist, cognate with the Germanic dental preterite (Meillet 1902), is in and of itself fitting with the tense denoting purpose. Third, the fact that the phoneme –t(+V)- was used fairly throughout the 2/3 Sg, Du, and Pl verbal paradigms provides motivates the use of tъ. In addition, Late Common Slavic speakers must have felt the need of filling the zero suffixes for 2/3 Sg aorists with something to make the forms more like a real word.
목차
1. Introduction
2. Preliminaries: Distributional facts and previous analyses
3. Previous analyses
4. Proposed Analysis
5.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러시아어 파생동사의 조어적 병렬어
- 고대교회슬라브어 문장부정어의 통사적 위치와 문법 경쟁
- 한국인 러시아어 학습자와 러시아 여성 화자의 러시아어 모음의 실험음성학적 대조분석
- 슬라브어 단일언어사전에서 공간 어휘의 의미기술
- 러시아어 토르플 B1~B2 단계 <쓰기> 영역 연구
- Особенности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прецедентных феноменов в рекламном дискурсе
- 러시아의 크림 병합과 벨라루스의 언어상황 연구
- 러시아표준어의 통시적 · 공시적 역동성: 언어의 민주화 (I)
- 슬라브어 연구 제24권 제2호 목차
-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Old Church Slavonic tŭ-aorist
- 러시아에서 차용어 “문화”(Культура)의 수용과 특징 연구
- 조남신 교수 약력 및 연구 업적
- 헌 정 사
- Исследование особенностей работы с текстом и чтение на занятиях по русскому языку как иностранному
- 러시아어 명사 기반 부사어(Nominal Adverbials) 연구
- 세계를 표상하는 방법
- 러시아어 동사 의미구조의 다상황적 분석
- 러시아어의 타동성 교체
- 러시아어 대명사 목적어와 타동사 어순에 관한 고찰
- 텍스트 유형별 러한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연구
- Метонимија и метафора као средства номинације у језерско-шаранској топонимији и хидронимији
- 한국슬라브어학회 연구윤리 규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관 해석에 근거한 자살 유가족을 위한 애도의 철학상담: 야스퍼스의 『세계관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 디지털 치료제와 환자의 자율성: 사전동의 과정 재구성을 위한 제언
-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개인의 자유와 상호 존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