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aesthetic Approach of the Chinese Poem Education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李美愛(Lee, Mi-ae)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49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1세기 지식사회는 정보화, 개인주의, 물질문명의 시대로 지식 위주의 학교에서 탈피하여 인간 중심, 타인에 대한 배려심, 사람을 바라보는 아름다움, 정서적,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을 이해하고 탐미해 나갈 수 있는 전인적인 인간상을 길러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7 중학교 한문과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한시 교육에서 미학적 학습요소를 인지적 영역, 철학적 탐색, 미적 표현력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한시의 ‘읽기 및 풀이’ 영역에서는 한시의 음과 뜻을 알고 풀이할 수 있도록 인지적 영역을 강조한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해 및 감상’에서는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이해하기 위해 한시를 철학적 탐색을 할 수 있도록 토의하기 및 작가와의 인터뷰하기 등 다양한 수업방법으로 적용하여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문화 영역에서는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의 미적 표현력을 길러주기 위해 한시를 전체적으로 감상하고 난 후 그림이나 만화, 음악, 역할극 등으로 표현하여 내면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영문 초록
The education of the knowledg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s necessary formating student s sound view of value, the ability of the understanding nature, warm-caring for others and the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on the aesthetic education in Sino Korean education of the Junior high school. And, for attaining the purpose of study,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students(n=103) after extracting the aesthetic learning elements in the Chinese poetry based on the resived Sino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the Junior high school in 2007.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First, this paper is to help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for the aesthetic education in Sino-Korean education of the Junior high school. Second,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Sino-Korean lesson plans that the aesthectics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Sino-Korean education of the Junior high school. Third, This paper is to assist the understanding of the aesthetic education for the teachers of the Sino-Korean education.
목차
1. 서론
2. 한시와 미학
3. 한시 미학 지도의 실제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암 박지원의 生態 美意識
- 조선시대 군왕 행장의 찬술 방식과 미의식
- 朝鮮後期 刀劒文學의 悲壯美에 대한 考察
- 漢字敎育의 美學的 接近
- 訥齋 朴祥 시의 미의식
- 朝鮮後期 연행록의 미학적 특질
- 題畵詩의 미학적 특징과 구현 원리
- 佛家 禪詩의 美意識
- 金鑢 문학의 미의식
- 필기 양식의 기록성과 그 미의식의 전개 양상
- 疏文의 文體破格 美學
- 漢文敎育의 미학적 접근
- 中國 初․中․高校의 古文敎育
- 尹愭 文學의 美意識
- 한국한문학의 中原 미학론 수용양상과 미학적 연구의 새 지평
- 星湖家 文學의 美意識
- 남명시에서의 서정 기반과 정서
- 漢文敎科 散文敎育에 있어서 美學 原理의 適用과 實踐 方案 硏究
- 漢詩敎育의 미학적 접근
- 楚亭 朴齊家 美意識 硏究
- 南塘 韓元震의 說理詩 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