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정부 회계개혁에 적합한 회계시스템의 개발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form of Accounting System in Korean Local Government: A Case of AIA
- 발행기관
- 한국전산회계학회
- 저자명
- 서원교(Suh, Won-Kyo) 신건권(Shin, Gun-Kwon)
- 간행물 정보
- 『전산회계연구』제5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부는 1999년 2월에 복식부기 도입을 위한 시범실시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4월에는 행정자치부가 경기도 부천시와 서울특별시 강남구를 시범실시 기관으로 지정하였다. 시범실시기관에서는 동년 12월 연구용역을 착수하고 이듬해 6월 AlA를 채택하여 회계제도에 대한 연구와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시험적용(2001년 11월 - 2003년 9월)을 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정부회계시스템의 구축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외에도 본 연구는 사례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지방정부회계시스템의 모델로 시험적용 중인 LADI(Local Government Accrual Accounting & Double-entry Information System)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정부회계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AIA is a new accounting method. It is not simply another new method, but a revolutionary method: it is intended to take accounting from the hands of professional accountants to the hands of ordinary men and women; and it is designed to produce comprehensive business reports directly out of activity data and on a real time basis. AIA is verified by the successful adoption of the borough of Gangnam, Seoul, and the city of Bucheon, Gyunggi Province in the name of LADI (Local Government Accounting by Double-entry Bookkeeping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year 2001 s research project and the year 2003 s application project. This study reviews the applying procedure of AIA prepared in the above two projects and shows the requisite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double-entry bookkeeping system in the governmental sect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회계시스템 혁신의 틀 AIA
Ⅲ. AIA를 적용한 지방정부회계시스템의 구축 사례
Ⅳ. 지방정부회계시스템 구축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NEW
- 지배기구와 외부감사인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법인세부담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성 인증의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인증기준과 인증보고서를 중심으로
-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시가 적용의 개선방안: 평가기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