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Maengjaaseongjicha(孟子亞聖之次)’ of 『Maengjajipju(孟子集注)ㆍSeo(序)』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韓延錫(Han, Youn-suk)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69호, 369~410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r “Aseongjicha(亞聖之次也)” of Jeongja(程子), Most people interpreted it as next to Aseong(亞聖) . Maengja is evaluated for not being aseong. This is related to familiarity of interpreting cha(次) as next(order) and Anja(顔子) who was more respected than Maengja(孟子). 程子 said Anja had more superiority over Maengja. So, They interpreted ‘Cha(次)’ as ‘Next to (Aseong)’ because they hesitated Maengja which is underappreciated as excellent Daehyeon(大賢). If Aseongjicha really indicates next to aseong , It must be able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nextlevel of aseong? However, Of ‘Seongin(聖人) Chaseong(次聖) Aseong(亞聖)’ referring to Hyunseong(賢聖), there is no word that is indicating nextlevel of Aseong. So, It is inappropriate to interpret aseongjicha as nextlevel of aseong Many Juseokseo(註釋書) including Handae(漢代), Jogi(趙岐) evaluated Maengja as aseong. Besides, Jeongja(程子) mentioned Maengja as Aseong. so It is rational to interpret ‘Cha(次)’ of seongjicha(孟子亞聖之次) as Banyeol(班列)
목차
1. 序言
2. 孟子와 程子의 聖人觀
3. 程子의 孔子 顔子 孟子에 대한 인식
4. 亞聖之次의 해석에 대한 再考
5. 結語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