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Directions for Developing a Curriculum for Private Investigator Nurturing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김양현(Kim, Yang-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20券 第4號, 23~5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0년 8월 5일부터 탐정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법의 개정이 이루어진 이후 많은 관련 기관이나 단체에서 공식적으로 ‘탐정’이라는 단어들 사용하고 있다. 특히, 많은 교육기관에서도 탐정양성을 위한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탐정양성 교육기관들은 탐정전공을 신설하여 학위를 수여하거나 탐정 관련 자격 교육과정을 통하여 자격증 수여하거나 평생교육기관과 탐정 자격관리기관의 MOU를 통하여 최고위과정을 운영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탐정 자격을 취득하거나 관련 기초지식,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교육단체의 교육과정을 분석해보고 탐정양성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탐정 교육단체들의 교과과정 개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탐정의 직무와 역량을 충분히 반영한 표준교육과정 개발 필요하다. 둘째, 교육기관별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업무 분야별 전문화 교육과정 신설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Since the related laws were revised on August 5, 2020, so that the term ‘private investigator’ could officially be utilized, many related organizations or groups have officially used the word, ‘private investigator.’ Especially, education for private investigator nurturing is actively provided at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Setting the private investigator specialized cours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private investigator nurturing grant degrees, grant licenses through the curriculum of private investigator-related qualifications, or operate the advanced exacutive program through an MOU between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an institution for the qualification management of private investigator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icula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which students obtain the private investigator qualifications or acquire the relevant basic knowledge or expertise and explo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private investigator nurturing. As a result, in developing a curriculum for private investigator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were proposed. First, it is crucial to develop a standardized curriculum that sufficiently reflects the private investigator’s duties and competencies. Secon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curriculu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alized curricular courses for each work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탐정양성 교육과정 분석
Ⅳ. 교육과정 개발 방향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 시대 민간경비 업무 환경에 대한 질적연구
- 지역 재난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민간경비의 활용 방안
- ‘6‧29 선언’의 헌정사적 평가
- 치안서비스 공동생산자론에 입각한 경비 근무자들의 지역경찰제에 대한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탐정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른 민간경비 협력 강화방안
- 일반경비원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워라밸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 경찰지역사회관계(PCR) 관점에서의 자치경찰활동 운영 방향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민간경비의 스마트치안 도입 방안
- 탐정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