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mployment Size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 저자명
- 박동규(Park, Dongkyu) 조인성(Cho, In-Sung) 박찬일(Park, Chan Il) 홍성효(Hong, Sung Hyo)
- 간행물 정보
- 『경영과 사례연구』제43권 제1호, 63~8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2015년과 2017년 원자료를 이용해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 여부와 고용규모 간 관계를 성향점수매칭과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고용이 증가하지만 이러한 고용증가는 비제조업에 해당하는 기업의 임시 및 일용직 고용에 한정된다. 그럼에도,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생산공정 자동화의 가속화는 제조업에서 고용의 감소를 야기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비제조업에서는 Katz and Margo(2014)의 이론적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가 나타나는 반면에 제조업에서는 Bessen(2016)의 주장과 부합하는 결과가 관측된다. 비록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의 총량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지라도, 직무간 일자리의 변동은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자리를 잃는 계층-이를테면, 단순 반복적 직무의 일자리에 종사하는 계층-과 일자리가 늘어나는 계층-이를 테면, 창의적이고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는 직무의 일자리에 종사하는 계층-이 존재할 것이며, 전자는 정부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의 피해자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들이 일자리를 잃지 않고 새로운 직무에 필요한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정부에 의한 기술훈련 및 교육서비스 제공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employment size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technique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 Survey of Business Activities 2015 and 2017 by Statistics Korea. According to results, although employment increases due to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increase in employment is limited to the temporary and daily employment in the non-manufacturing sector. However, the acceleration in production process automation by 4th Industrial Revolution appears not to cause employmen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to decrease. The results in the non-manufacturing sector are supportive of Katz and Margo (2014)’s theoretic arguments while those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re observed to be in line with what Bessen (2016) predicts. Even though the total amount of jobs is not affected by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variation in jobs among tasks could differ. That is, there would be a social class who loses jobs (e.g., people who work in simple and repetitive jobs) and another social class who obtains the opportunity of more jobs (e.g., people who work for jobs with creative and professional tasks). Since the former belongs to a victim of the government’s policies related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required for the government to provide workers in jobs that would be replaced by automation with training and education service. By doing that, they can learn skills needed in the new tasks and maintain their job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모형
Ⅲ. 자료 및 변수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