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Frequency of Using Social Media on Quantity of Communication: An Exploratory Study on Mediation Effects of Information Exchange Volume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 저자명
- 박기호(Park Kiho)
- 간행물 정보
- 『경영과 사례연구』제43권 제1호, 35~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매체(실시간 대화앱과 생활공유서비스) 시대에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온오프라인 의사소통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와 정보교환량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동기 및 의문점으로는 첫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정보교환의 양에 영향을 줄 것인가? 둘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온오프라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정보교환의 양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정보교환의 양이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인가? 라는 의문점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1단계는 탐색적으로 의사소통 실태에 대해 정성조사 기법인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고, 2단계는 실증분석을 위해 설문 조사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경로 분석을 한 결과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증가할수록 정보교환의 양은 증가하였다. 또한, 사회적 매체의 사용빈도가 증가할수록 온라인 의사소통은 증가하였으나 오프라인 의사소통과는 무관하였다. 사회적 매체의 정보교환양은 사용빈도와 온라인 의사소통 간에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보였다. 사회적 매체 사용빈도가 정보교환양 변수보다 온라인 의사소통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매체의 사용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음으로 사회적 매체의 등장이 오프라인 의사소통에 부정적 혹은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긴 어렵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affects quantity of communic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information interchange in the age of social media.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terchange was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increased. Also, as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increased, communication activities were increased, but it was not related to offline communica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interchange in social media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frequency of use and communication increase.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had a greater impact on online communication than information interchange. In this study, the use of social media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offline communication, so it is hard to think that social media had a negative or positive effect on offline communicatio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academia and industry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