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haegasung, a Minority Group in Hamgyeong-do: Focusing on the Records and Policies of Chaegasung in the Late Chosŏn Dynasty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저자명
- 이동규(LEE Donggue)
- 간행물 정보
- 『태동고전연구』제47집, 97~13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재가승(在家僧)’은 조선 후기 함경도 북부 두만강 유역과 인근 산간 지방에 세거하였던 이들로 옛 6진(鎭) 지역인 경원(慶源), 경흥(慶興), 부령(富寧), 온성(穩城), 종성(種城), 회령(會寧)을 근거지로 삼고 있었다. 재가승에 대한 본격적인 소개와 그들이 특수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는 인식을 심어 준 것은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인류학적 기원을 찾기 위한 과정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재가승’은 ‘일반적’인 조선인과 대비되는 ‘특별한’ 존재라는 점이 강조된 측면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여진족의 후예’라는 재가승의 민족적인 구분과 특수성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조선 후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만들어진 재가승의 기록들을 검토한 이후 이들이 조선사회에 어떻게 융화되고 공존할 수 있었는지 그들의 사회경제적 역할과 활동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국가의 입장에서도 이들이 독특한 풍습을 이어가는 한편으로 국역 체계 안에 어떻게 포함시키고 공(公)적 역할을 부여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재가승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Chaegasung lived in the Tuman River basin and nearby mountainous regions in the northern part of Hamgyeong-do in the late Chosŏn Dynasty, and was based on Gyeongwon, Gyeongheung Buryung, Onseong, Jongseong, and Hoeryeong. The full-fledged introduction to them and the recognition of having a special culture began with the process of finding the anthropological origin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Koreans. There is an aspect that emphasizes that “Chaegasung” is a “special” existence in contrast to “general” Koreans. In this paper, beyond the image of descendants of the Jurchen tribe, which has emphasized the national distinction and specificity of the monks, I looked at the aspects of the mon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 special environment. After reviewing the records of Buddhist monks made from the late Chosŏn Dynasty to the present era, it confirmed the socioeconomic roles and activities of how they were able to harmonize and coexist in Chosŏn society. In addi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state, I would like to examine how they continued their unique customs and gave them a public role in the national translation system.
목차
1. 서론
2. 재가승의 기록 검토
3. 재가승 거주의 지리적 특성
4. 조선후기 재가승에 대한 인식과 정책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당대(唐代) 복제담론(服制談論)과 변례(變禮)
- 『노자(老子)』 13장의 재해석
- 신라 지증왕 6년(505) 정해진 주(州)의 광역적(廣域的) 성격
- 황진(黃震)의 인심유위장(人心惟危章) 해석을 통해 본 남송(南宋) 말 학술의 일면
- 조호익 『역상설(易象說)』의 역학사상과 그 위상
- 조선초기 국가의례 정비와 『가례(家禮)』
- 딜레마 해결의 관점에서 바라본 곡속장(觳觫章)
- 태동고전연구 제47집 목차
- 『소학집성(小學集成)』 판본에 대한 고찰
- 강유위(康有爲) 철학과 송학, 묵가의 관련성 일고찰
- 발전사의 시야에서 본 이이(李珥)의 이(理) 개념
- 함경도의 소수 집단, 재가승(在家僧) 연구
- 곽상(郭象)의 정치사상(政治思想)에 관한 일고찰
- 장지연 『진휘속고(震彙續攷)』 (2)
- 조선후기 사대부의 시문에 보이는 영규대사(靈圭大師)의 정체성과 형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 연구 제25호 목차
- 디지털 기반 이민자 언어교육에서 문법 교수 전략 실현 양상 - 형태초점접근(FFI) 관점에서 호주 AMEP, 일본 Tsunahiro 사례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의 지시 화행 제시 양상 연구 - 조선어 연수 기관의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