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conditions and the point at issue of managment of Aggregate Buildings
- 발행기관
- 한국집합건물법학회
- 저자명
- 박세창(Park, Sea-Chang)
- 간행물 정보
- 『집합건물법학』제7집, 97~12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집합건물은 오늘날 집합건물은 1970년대부터 주로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건립되면서 국민의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 상승, 주거안정대책 추진정책 등과 맞물리면서 꾸준히 증가하여 오늘날은 국민의 절반 이상이 거주하는 주된 주거형태로 부상한 것은 물론이고, 그 형태에서도 아파트․빌라․연립주택에서 나아가 상가아파트, 상가와 아파트가 결합된 주상복합건물 또는 공장용아파트, 오피스텔 등 다양할 뿐만 아니라 그 규모면에서도 대형화․집단화하고 있다. 또한, 집합건물의 관리에 관하여는 집합건물과 집합(공동)주택을 구별하여 전자에 대하여는 집합건물법 을 중심으로 임의적․자연적 관리체계로, 후자에 대하여는 주택법 을 중심으로 강제적․조직적 관리체계로 규정한다. 그 결과 관리의 실태에서는 집합건물법 을 적용 받는 집합건물에서는 아애 집합건물법의 적용을 인식하지 않거나 관리체계를 외면하고, 주택법 이 적용되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집합주택 또한 법정의 관리체계가 준수되고 있는 것도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집합건물의 현황과 관리형태 및 관리관련법령 적용의 실태를 파악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Aggregate Buildings Law(ABL) has been enforced without any particular revision since April 2. 1984. Today, however, Aggregate Buildings not only increased in quantity, but also seen many changes on scale and form. As this unexpected phenomenon at the time of enactment, this Law has many loophole in application and conflict with other laws. It should be demand to make an entry of representative and management mode etc. with government notices of exclusively owned part in the register(Art. 54, clause 2) for the reinforcement of Management Division s status, and should be newly enacted articles to be equipped with professional management and equipment. A special Act should be enacted about the management of an aggregate building complex to unify judicial substances on the Housing Act to the judicial system.
목차
Ⅰ. 서설
Ⅱ. 집합건물의 현황과 관리실태
Ⅲ. 집합건물관리상 문제점
Ⅳ.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