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온라인 구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388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s on Tourism Satisfaction and Online Word of Mouth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배승현(Bae, Seung Hyun)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5권 제6호, 33~4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을 구성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 관광 만족도와 온라인 구전 간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해외 관광 경험이 있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방법은 전문기관을 통한 인터넷 조사를 통해 425부를 수집한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을 도출하고, 신뢰도 분석과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요인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 5요인 (현지 가이드경험, 인프라 경험, 이국적 경험, 자기 유익경험, 동반자 유대경험) 모두 관광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온라인 구전과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 요인 중 자기 유익 경험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ke up the memorable travel experience and to verify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memorable travel experience and tourism satisfaction and Online Word-of-Mouth(eWOM). The scope of the study was aimed at Koreans with overseas tourism experience within the last 5 years. The investigation method demonstrated 425 copies of the data collected by conducting an Internet survey through a specialized institution. The factors were deriv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easi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was verifi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ve factors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local guide experience, infrastructure experience, exotic experience, self-benefit experience, and companionship experience)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m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only self-benefit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online word of mouth among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factors. Based on thi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ormation of a Convergent Structure System for Access to the Qualif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Counsel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 조직 내의 가스라이팅 대응 모델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대유행 중 보건의료인의 정신건강 지원 관련 연구 고찰
- 남북한 문화이질성 극복을 위한 통일문화정책 활성화 방안
- 관광 소셜미디어 정보특성이 관광지 브랜드자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의 사회적 자본 및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
-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에 대한 이론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사회심리적 건강 및 우울 간의 관계
-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온라인 구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선택몰입의 관계
- 육군 장병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일의 의미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일부지역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직무소진 정도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지 관련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