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선택몰입의 관계
이용수 295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이정애(Lee, Jeong Ae)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5권 제6호, 55~6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선택몰입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있다. 이를 위해 28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2와 SPSS Process Macro 4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인식은진로적응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적응성은 진로선택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점인식과 진로선택몰입의 관계를 진로적응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진로선택몰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진로적응성을 높일 수 있는 개입이 중요하다는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진로지도 및 상담에서 진로선택몰입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세우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of undergraduat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88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 and SPSS Process Macro 4.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rengths knowled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Second, career adaptab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ird, career adaptability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effective interventions to increase career adaptability will also increase student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n conclusion, the findings will serve as an effective tool to provide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in order to promote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y usage of career adaptability and strengths knowledge in counseling and guida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ormation of a Convergent Structure System for Access to the Qualif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Counsel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 조직 내의 가스라이팅 대응 모델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대유행 중 보건의료인의 정신건강 지원 관련 연구 고찰
- 남북한 문화이질성 극복을 위한 통일문화정책 활성화 방안
- 관광 소셜미디어 정보특성이 관광지 브랜드자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의 사회적 자본 및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
-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에 대한 이론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사회심리적 건강 및 우울 간의 관계
-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온라인 구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선택몰입의 관계
- 육군 장병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일의 의미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일부지역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직무소진 정도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지 관련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