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장애인 복약지도의 실태와 연구

이용수  154

영문명
A Study on Actual Situation and Case study of Medical Treatment for Blind People
발행기관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저자명
Inhye Cha Seung-In Kim
간행물 정보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제2권 제2호, 25~32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시각장애인들이 제공받고 있는 복약지도의 실태를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안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동일하게 복약지도료를 지불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각장애인들은 실질적으로 투약 시 도움을 받지 못하여 투약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국내 의약품에 제공되는 점자표기의 사례를 분석하고, 선행연구에 관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국내 및 해외의 시각장애인 복약지도의 차이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시각장애인들이 제공받아야할 복약지도의 방향성을 명확하게 그릴 수 있었다. 나아가 비장애인들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데에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정책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medication guidance provided by the visually handicapped people in Korea and to examine the future plan. Despite the fact that non-disabled and disabled people are paying the same amount of medication, visually impaired people do not get help when they actually take medicine, so they are in a blind spot of medi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braille notation provided for Korean medicines and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o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by studying the difference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visually impaired medicine guidance, it was able to clearly draw the direction of the medicine guidance that blind people should receive.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policy and various researches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non-disabled persons to receive medical servic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국내외 사례 조사 및 분석 결과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Inhye Cha,Seung-In Kim. (2018).시각장애인 복약지도의 실태와 연구.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2 (2), 25-32

MLA

Inhye Cha,Seung-In Kim. "시각장애인 복약지도의 실태와 연구."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2.2(2018): 25-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