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isposable Meal Box Desig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ervice Design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 저자명
- Wang Zheng PanYoung Hwan
- 간행물 정보
-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제2권 제2호, 49~5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disposable meal box is simple and low-cost but its design is difficult and complicated with many restrictive factors and pain points that are hard to find. The project team has realized that it is possible to achieve innovations by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a full life cycle and expanding the demand orientations for disposable meal boxes. As a result,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is introduced in this product design and we re-examine the design requirements of the supply side, the demand side, and the distribution side relying on the service design method. The design no longer completely centers on users, and the actual needs of other stakeholders are found in practice and the design practice is successfully completed in practice.
목차
1. Why to Introduce Service Design
2. Service Design research
3. Product design practice guided byservice design
4.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골목문화의 정보공유 환경 변화와 미래의 골목
- 아동을 위한 야외놀이학습 IoT UX 디자인 개발
- 한글 난독증 중재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파닉스 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 실내외 겸용 산소발생기 제품 디자인 개발
-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Trends and Designer Role Change
- 일회용 플라스틱 커피컵 사용을 줄이기 위한 텀블러 홀더 및 캠페인 제안
- 시각장애인 복약지도의 실태와 연구
-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제2권 제2호 목록
- Disposable Meal Box Desig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ervice Design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