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복궁 집옥재, 협길당 및 팔우정 목부재의 연륜연대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of Jibokjae, Hyubgildang and Palujung at Kyungbok Palace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가구학회
- 저자명
- 이광희(Kwang-Hee Lee) 박원규(Won-Kyu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가구학회지』제21권 제1호, 17~2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ree buildings -Jibokjae, Hyubgildang and Palujung- are connected each other and consist of a library and reception complex for royal kings at Kyungbok Palace in Seoul. Jibokjae and Hyubgildang were known to have been moved from Changdok Palace in A.D. 1891. No construction records have been known for Palujung. In 2004, during repair of three buildings, a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ir building histories. We took 67 wood samples for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20 from Jibokjae, 37 Hyubgildang and 10 Palujung,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lling dates of Jibokjae and Hyubgildang woods were A.D. 1877-1879/1880, indicating original construction of two buildings at early 1880s. Felling dates of Palujung were 1886-1889/1890, those of roof filling timbers 1890 and the connection part between Hyubgildang and Jibokjae 1886, confirming 1891 s movement of Hyubgildang and Jibokjae and adding a new building, Palujung.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사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