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가구의 다리와 발 스타일 용어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erminology of the Leg and Foot style of Traditional Furniture
- 발행기관
- 한국가구학회
- 저자명
- 문선옥(Sun-Ok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구학회지』제21권 제1호, 83~9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erminology for legs and feet in the traditional Korean and Western furniture. Pieces of traditional Korean and Western furniture have been largely made of the eco-friendly material, natural wood, and thus important in the latest trends of wellness, such as LOHAS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and a green period. Legs in traditional Korean furniture appeared in dinging tables, and the feet in wardrobes. The limited use of legs and feet seems to be influenced by floor-oriented lifestyles of Korean ancestors. In contrast, most pieces of Western furniture, which is from the chair and bed culture, have various styles of foot and leg. While th two groups are from different backgrounds, both of them have developed various legs and feet applying natural subjects such as animals and plants to each of their furniture including wardrobes, cabinets, dining tables, chairs, consoles, etc. It is also found that the traditional Korean furniture can be influenced by a traditional Chinese chair foot called Neabunmajae, which describes inner horse foot. Neabunmajae was known in Korean furniture legs and feet, but the terminology has not been known. The study suggests that terms which appear in traditional furniture but are unknown should be studied more.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전통목가구의 형태, 다리 및 발 용어
Ⅲ. 서구의 전통가구, 다리 및 발 용어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