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기숙사 시스템 가구디자인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System Furniture Design in University Dormitory- Focus on System and Module For User -
- 발행기관
- 한국가구학회
- 저자명
- 김종서(Jong Se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구학회지』제24권 제3호, 247~25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dormitory is the most important compound space to college students who have to live with others. Also, for the students living in the boarding area, the dorm space can be the space for learning, exchanges and cultural. These Housing environment is a public space, so this is based on Universal Design. However, the 1970s-built dormitory space for the current user is narrow and not right for furniture standard.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the design directions ar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 Park, Young-Soon, 2008, ‘A Proposal on Dormitory Furniture Design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e type of variable design is designed for desks, bookcases, beds, wardrobes, and other cabinets as representative household types. Furthermore, these furnitures are assembled and transformed depend on the dormitory space for single, double and four students. The furni-ture assembly system and arrangement module are presented in the direction of three kinds of designs. Therefore, three meaning of this study are the development of design to be used each item, the realization of custom furniture for space and presenting variable design module.
목차
Ⅰ. 서론
Ⅱ. 기숙사 현황 조사
Ⅲ. 기숙사 가구와 시스템 가구
Ⅳ. 디자인 제안
Ⅴ. 결론
사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