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건축논의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의 담론적 이해
이용수 4
- 영문명
- Understanding on the Movement in Discourse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Focused on Ahn Yung Bae’s 「Exterior Space i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
- 발행기관
- 한국가구학회
- 저자명
- 서정연(Jeong Yeon Suh)
- 간행물 정보
- 『한국가구학회지』제24권 제3호, 293~30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rough 1960 and 1970s, there had been constant endeavor in order to succeed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heritages. Among those efforts Ahn Yung Bae’s book 「Exterior Space i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presented unique methodology utilizing abstraction of space and movement of subject. His method doesn’t refer traditional form of architecture. He ignores formal elements. Instead, he reads space through subject’s movement and this reading act creates meaning of space. So, he constructed knowledge not about the object of traditional architecture but the subject of today. Ahn’s book opens new discourse based o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His analyses didn’t deal with the form of traditional space, but the experi-ences of observer. However many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to architecture had not been in-terpreted until nineties and the succession of heritage became to be broken by modernity through 20th century. In this situation his book showed the unavoidable method, that is,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목차
Ⅰ. 서론
Ⅱ. 「한국건축의 외부공간」과 70년대 전통논의
Ⅲ. 「한국건축의 외부공간」에 나타난 움직임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