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Facilitation Process: A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Cognitive Processing of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nd Attribution Sty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정(Eunjeong Rhee) 김보영(Bo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2호, 623~63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 기술 촉진 과정을 진로장벽에 대한 인지적 처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수도권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24명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진로장벽에서 외적 조절 동기를 통하여 계획된 우연 기술로 이어지는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부정사건 귀인양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외적 조절 동기는 진로장벽과 계획된 우연 기술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즉, 진로장벽을 높게 인식할수록 외적 조절 동기가 증가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계획된 우연 기술은 감소하였다. 둘째, 부정사건 귀인양식은 외적 조절 동기와 계획된 우연 기술 간 관계를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정적 사건을 불안정적 차원에 귀인 할수록 계획된 우연 기술에 대한 외적 조절 동기의 영향력이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방벽이 외적 조절 동기를 통해 계획된 우연 기술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사건 귀인의 안정성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끝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계획된 우연 기술 촉진 과정에 관여하는 인지적 기제와 본 연구의 한계와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facilitation process of college student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relation to cognitive processing of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nd attribution style when career barrier is perceived.
Methods Thu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applied to a sample of 324 students enrolled in a 4-year university in Seoul, Korea.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other words, when career barrier was highly perceived,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was stimulated and resulted in decrease i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econd, bad event attribution styl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Results revealed that unstable explanations for bad events weakened the negative influence of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o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ttribution style for bad events on the relationship career barrier o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rough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was significant.
Conclusions Research implication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량 중심 교육으로서의 율곡의 교육사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유아교사 및 미술교사의 미술교육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정가(正歌) 관련 내용 분석 및 문제점 고찰
- 예 만들기 활동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추상화 및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핵심 개념(big idea) 중심의 교과서 구성 방안 탐색
- 플립드러닝 운영 교수자의 경험 탐색 연구
- 확률 단원에서 토의⋅토론식 수업으로 의사소통 능력 및 정의적 영역의 효과성 연구
-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과 유아의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매개효과
- 미혼모의 임신 기간 중 심리사회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RCS모델 기반 아동간호학 온라인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 시간 관리를 활용한 대학의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체육계열 졸업 여학생의 진로선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학원의 교육문화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의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 대학 신입생 대상 온라인 동료 튜터링에 참여한 튜티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선박 기관실 시뮬레이션 수업에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방식에 따른 피드백 수용성, 피드백 활용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 유아교사 놀이지원역량 영역 및 지표 구성에 관한 탐색 연구
- 영아의 사회-의사소통 능력이 영아-부모 및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엔지니어링 디자인 접목 과학 수업을 통한 창의역량의 신장
- 서클 프로세스와 비폭력대화에 기초한 ‘소통 중심 평화⋅통일교육’
- 소설 감상문 쓰기 교육 연구
- 대학생 학업소진 관련 국내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명상을 적용한 인지행동치료: 우울과 불안을 호소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단일사례연구
- 강의식 대형강좌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형 및 특징 분석
- 계획된 우연 기술 촉진 과정 탐구
- 블렌디드 러닝 교수 역량에 대한 대학교수의 인식변화 및 교육요구도 분석
- 유아교사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 척도의 구성요인 타당화
- 유아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행복의 구조관계 분석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심리적안녕감, 대학생활적응, 셀프리더십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구성요인 타당화 연구
- 2015개정교육과정 6학년 영어 교과서 과업 분석
-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외상경험이 있는 성인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가정의 독서환경 군집에 따른 유아 어휘력과 읽기 흥미의 차이
- 보육교사의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비의 매개효과 연구
- 코로나19 이후 4학년 간호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경험
-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 동향 고찰
- 유아의 신체활동역량이 놀이성, 또래유능성 및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 영향요인
-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
- 취학 전 자녀를 둔 기혼간호사의 양육효능감과 남편의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연구
- 고등학교 교양 심리학 수업 실행연구
- 협력 학습적 미술과 디자인을 활용한 유아 STEAM 프로그램 개발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융합교육 중심 창의성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교환형 문제 만들기 주고받기를 적용한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 미래 미술교육을 위한 첨단매체 활용방안 탐구
- 성인학습자를 위한 Online Collaborative Tool을 활용한 자서전쓰기 지도 사례
- 코로나 19에 따른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 유아교사 경험의 의미
-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아교사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탐색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가 체험한 배움의 의미 탐구
- 부모의 창의효능감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하여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COVID-19) 상황에서 대학생활적응, 학업스트레스가 여대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는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반영 및 제시 방식 연구
- 학교문화예술교육 측면에서의 국악교수 전문성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 제 4차 산업혁명시대 학교교육에서 교사의 역할 연구
- 멘토링 기반 진로효능감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발달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
- 장애 영⋅유아 음악 활동 연구 동향 분석
-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22호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문학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상생 방안 탐구
- 초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경험과 삼각 멘토링 모델의 역할: H-점프스쿨 대학생 봉사자 출신 사회인 멘토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현상학적 모델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