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erences in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of Children between Clusters of Reading Environments at Hom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나야(Choi, Naya) 노보람(No, Boram) 최지수(Choi, Jisu) 오태성(Oh, Taes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2호, 23~3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물리적 독서환경, 양적 독서상호작용과 질적 독서상호작용으로 구성한 유아 가정의 독서환경에서 가정 간 차이가있을 것으로 보고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가정독서환경 유형에 따라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만 4세 유아와 어머니 47쌍이다. 유아는 어휘력을 측정하는 면대면 검사에 참여하였고, 어머니는 가정의 독서환경과 유아의 읽기 흥미를 측정하는 질문지 조사에 참여하였다. 가정의 독서환경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시행하였고, 군집에따른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군집분석 결과, 가정의 독서환경은 전반적 우수, 물리적 환경 취약, 질적 상호작용 취약의 세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간에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 우수 집단과 물리적 환경 취약 집단의 경우, 질적 상호작용 취약 집단에 비해 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 수준이 높았다. 또한 전반적 우수 집단이 질적 상호작용 취약 집단에비해 유아의 읽기 흥미가 높았다.
결론 유아를 둔 가정의 독서환경은 세 가지 군집으로 유형화될 수 있으며,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는 가정의 독서환경 유형에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질적 독서상호작용이 물리적 환경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of children depending on the clusters of home reading environment, which is consisted of the physical reading environment, quantitative reading interactions, and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s.
Methods 47 pairs of 4-year-old children and mothers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o measure home reading environment and children’s reading interests.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the clusters of home reading environment, and one-way ANOVA to find differences in children’s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depending on the cluster.
Result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home reading environment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verall superiority, physical environmental vulnerability, and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ility. As a result of the one-way ANOVA,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the overall superior and physical environmental vulnerable group was higher than the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le group. Also, the overall superior group had a higher reading interest than the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le group.
Conclusions Children’s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vary according to the home reading environment, especially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s affect a greater impact than the physical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량 중심 교육으로서의 율곡의 교육사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유아교사 및 미술교사의 미술교육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정가(正歌) 관련 내용 분석 및 문제점 고찰
- 예 만들기 활동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추상화 및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핵심 개념(big idea) 중심의 교과서 구성 방안 탐색
- 플립드러닝 운영 교수자의 경험 탐색 연구
- 확률 단원에서 토의⋅토론식 수업으로 의사소통 능력 및 정의적 영역의 효과성 연구
-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과 유아의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매개효과
- 미혼모의 임신 기간 중 심리사회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RCS모델 기반 아동간호학 온라인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 시간 관리를 활용한 대학의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체육계열 졸업 여학생의 진로선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학원의 교육문화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의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 대학 신입생 대상 온라인 동료 튜터링에 참여한 튜티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선박 기관실 시뮬레이션 수업에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방식에 따른 피드백 수용성, 피드백 활용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 유아교사 놀이지원역량 영역 및 지표 구성에 관한 탐색 연구
- 영아의 사회-의사소통 능력이 영아-부모 및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엔지니어링 디자인 접목 과학 수업을 통한 창의역량의 신장
- 서클 프로세스와 비폭력대화에 기초한 ‘소통 중심 평화⋅통일교육’
- 소설 감상문 쓰기 교육 연구
- 대학생 학업소진 관련 국내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명상을 적용한 인지행동치료: 우울과 불안을 호소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단일사례연구
- 강의식 대형강좌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형 및 특징 분석
- 계획된 우연 기술 촉진 과정 탐구
- 블렌디드 러닝 교수 역량에 대한 대학교수의 인식변화 및 교육요구도 분석
- 유아교사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 척도의 구성요인 타당화
- 유아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행복의 구조관계 분석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심리적안녕감, 대학생활적응, 셀프리더십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구성요인 타당화 연구
- 2015개정교육과정 6학년 영어 교과서 과업 분석
-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외상경험이 있는 성인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가정의 독서환경 군집에 따른 유아 어휘력과 읽기 흥미의 차이
- 보육교사의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비의 매개효과 연구
- 코로나19 이후 4학년 간호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경험
-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 동향 고찰
- 유아의 신체활동역량이 놀이성, 또래유능성 및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 영향요인
-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
- 취학 전 자녀를 둔 기혼간호사의 양육효능감과 남편의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연구
- 고등학교 교양 심리학 수업 실행연구
- 협력 학습적 미술과 디자인을 활용한 유아 STEAM 프로그램 개발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융합교육 중심 창의성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교환형 문제 만들기 주고받기를 적용한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 미래 미술교육을 위한 첨단매체 활용방안 탐구
- 성인학습자를 위한 Online Collaborative Tool을 활용한 자서전쓰기 지도 사례
- 코로나 19에 따른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 유아교사 경험의 의미
-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아교사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탐색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가 체험한 배움의 의미 탐구
- 부모의 창의효능감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하여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COVID-19) 상황에서 대학생활적응, 학업스트레스가 여대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는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반영 및 제시 방식 연구
- 학교문화예술교육 측면에서의 국악교수 전문성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 제 4차 산업혁명시대 학교교육에서 교사의 역할 연구
- 멘토링 기반 진로효능감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발달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
- 장애 영⋅유아 음악 활동 연구 동향 분석
-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22호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경험과 삼각 멘토링 모델의 역할: H-점프스쿨 대학생 봉사자 출신 사회인 멘토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기초 지방자치단체 초대 공공기관장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임명과 퇴임 전후 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의 책쓰기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