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식 인스타그램 정보품질이 사회적 실재감, 신뢰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2

영문명
The effect of Information Quality of Foodservice Instagram on Social Realism Trust, and Continuously Intention
발행기관
대한관광경영학회
저자명
염진철(Yom, Jinchul)
간행물 정보
『관광연구』제36권 제7호, 19~3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식 인스타그램 정보품질의 구성개념인 유용성, 최신성, 공유성 및 상호작용성이 사회적 실재감과 신뢰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10월 5일부터 30일까지 SNS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306부를 분석에 이용되었다. SPSS 23.0 및 AMOS 23.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판별타당성,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성개념들 간에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 인스타그램 정보품질에 대한 구성개념인 공유성, 상호작용성은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용성과 최신성은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공유성과 상호작용성은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유용성과 최신성은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유용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유성과 최신성, 상호작용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사회적 실재감은 신뢰에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실재감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는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verified the influence of usefulness, up-to-date, sharing, and interactivity, which are the constituent concepts of Instagram information quality for foodservice, on social realism, trust, and intention to continuousl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hrough the Internet from October 5 to 30, 2019.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06 copies were used to analyze the final results,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that responded insincerely. Using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s of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is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haring and interactivity, which are the constituent concepts of Instagram information quality for foodserv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social realism. However, usefulness and up-to-dat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alism. Second, commonality and interactiv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However, usefulness and up-to-date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Third, useful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However, it was found that commonality, up-to-date, and interactiv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Fourth, social realism was analyz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rust, and social pres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and trus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진철(Yom, Jinchul). (2021).외식 인스타그램 정보품질이 사회적 실재감, 신뢰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36 (7), 19-37

MLA

염진철(Yom, Jinchul). "외식 인스타그램 정보품질이 사회적 실재감, 신뢰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36.7(2021): 19-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