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보영재교육의 효과성 분석
이용수 11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cs Gifte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최정원(Choi, Jeongwon) 이영준(Lee, Youngju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9권 제4호, 115~12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교육이 학생의 인지적 영역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정보영재교육의 효과를 진단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인지적 영역에 미치는 요소를 교육기관의 목표와 내용, 정보영재교육의 난이도, 정보영재학생의 지식습득 정도, 학습자 핵심 역량 향상, 학습 전이 정도로 구분하고 영재학급, 교육청 산하 영재교육원,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과학고등학교 총 9곳의 교육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고 이 기관의 학생 17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기관의 목표와 내용은 21세기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 등 다양한 핵심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학생들은 정보영재교육을 통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기관별로 학습자간 습득한 지식 범위와 수준의 차이로 인해 학습자간 역량 차이가 심화될 가능성이 있음이 나타났으며, 난이도나 학습 속도의 부적절함,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의 전이 정도에 대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응답률은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suggestion for strengthening informaticseducation by analyzing its effects on cognitive domains. As a result of survey on the 171students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gifted, in the respect of the congnitive domain,most of them replied that the education is difficult and speedy. But its effect from acquisitionof knowledge is very satisfactory. Regarding core competence, especially, the result shows thehighest response rate in the educationally positive effect on logical thinking, while it turns outthat the education has little effect on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abilities. Also, only onehalf of the students replied that the education works for learning transfer.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 과학 문항 개발
-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정보과목의 서술형 수행평가 적용방안
- 생활지도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 고등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음악과와 미술과 교사의 개별화 수업에 관한 인식 비교
-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동기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정보영재교육의 효과성 분석
- 장애학생 가족과의 협력과 가족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EFL 어휘학습에서 입력강화로서의 혼합주석
- 체육과 교육과정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표준 기반 개혁 흐름 속 예비교사의 교육적 의사 결정 연구
- 국내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