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이용수 122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of Moral Reflec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Mo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국현(Kim Kuk Hyeo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9권 제4호, 205~2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덕과 교사들이 가장 다루기 어려운 주제로 인식하고 있는 도덕적 성찰이라는 학습 주제의 의미를 명료화하고 교육과정 진술 내용 및 교과서의 도덕적 성찰 학습 단원 내용을 분석하여 이론적 개선 및 보완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교과서의 도덕적 성찰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가능한 자아(possible selves) 개념에 기초한 자아이론, 과거-현재-미래의 시간 구조에 기초한 성찰 과정 이론을 통한 보완 방향을 제안하였다. 도덕적 성찰에 대한 선행 연구가 거의 없으며 특히 교육과정상 동양과 한국의 도덕적 성찰에 대한 진술이 취약한 점을 보완하고자 유교윤리사상 고전들에서 도덕적 성찰의 목적, 대상, 방법 문제, 즉 도덕적 성찰 학습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왜, 무엇을, 어떻게라는 세 가지 문제에 대한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성찰 수업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도덕적 성찰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내러티브와 수업 비디오를 통한 성찰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도덕적 성찰에 대한 교과서 내용 재구성, 토론 수업에서의 도덕적 성찰 학습 실행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larifies the meaning of moral reflection which moral teachers think the mostdifficult theme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uggests the methods of implementation ofmoral reflection in moral education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issues; the goal of moralreflection(why students should do moral reflection), the objects and contents of moralreflection(on what students morally reflect), and methods and attitudes of moral reflection(howstudents do moral reflection). And so, firstly, analyzes the weakness of achievement standardsof moral reflection of 201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Moral Textbook in thelight of self theory, especially possible selves and time structure that is composed of past,present, future and suggests directions for improvement. Secondary, extracts related contentsfrom moral classics of confucianism such as Analects of Confucius, the Book of Mencius etc. andsuggest teaching-learning methods such as video self-refl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교과서의 성찰 기술 내용과 자아이론에 따른 보완
Ⅲ. 유교사상에서 도덕적 성찰의 목적, 대상, 방법
Ⅳ. 도덕적 성찰의 목표분류와 교수·학습 방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 과학 문항 개발
-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정보과목의 서술형 수행평가 적용방안
- 생활지도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 고등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음악과와 미술과 교사의 개별화 수업에 관한 인식 비교
-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동기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정보영재교육의 효과성 분석
- 장애학생 가족과의 협력과 가족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EFL 어휘학습에서 입력강화로서의 혼합주석
- 체육과 교육과정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표준 기반 개혁 흐름 속 예비교사의 교육적 의사 결정 연구
- 국내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