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초등교사들의 화석 개념에 대한 연구
이용수 12
- 영문명
- A Study on Fossil Con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덕호(Kim, Deok-Ho) 홍승호(Hong, Seung-Ho)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9권 제3호, 2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7.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화석에 대한 이해는 지구역사 연구의 핵이며, 화석에 대한 이해의 과정은 과학사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생 때부터 화석에 대한 개념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며, 이와 더불어 장차 초등학생들을 가르치게 될 예비 초등교사의 화석에 대한 개념 이해 또한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의 ‘화석’에 대한 개념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념 검사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J 대학교 교육대학 예비 초등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투입하여 조사하였다. 전체 문항에 대한 평균 오답률은 21.73%로 나타나, 여전히 성인이 되어도 화석에 대한 오개념은 남아 있다고 볼 수 있다.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 총 20개의 개념 문항 중 8개의 문항에서 평균 이상의 오답률을 나타내었으며, 성별 간에서는 2개 문항, 학년 간에서는 4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예비 초등교사들의 ‘화석’에 대한 오개념을 과학 개념으로 교정하기 위해 교육대학에서는 탐구 학습이나 체험 학습 등을 적용한 실제적 교수-학습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understanding on fossil is very important about a study of the earth s history. Andprocess of the understanding on fossil is the history of science itself. Encouraging theimportance of conception education on fossil is very meaningful from elementary schoolstudents. Along with this, the conception understanding on fossil of pre-service elementaryschool teachers is very important, too.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nceptionevaluation items for know conception understanding on fossil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teachers. And, the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 203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of J National University. Average percentages of incorrect answer for the entire evaluationitems was 21.73%, they had still misconceptions on fossil until adulthood. The results ofanalyzing the evaluation items, the 8 items of the 20 conception questions were higher thanaverage percentages of incorrect answe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2 items of betweenthe gender, 4 items of between the grade. Therefore, it would be judicious to offer practical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using the inquiry learning or the experience learning inteachers college to correct misconceptions into scientific con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school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절차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과 민주주의의 연관성
- 수석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상의 차이 분석
-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과정 기반의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교과교실 운영의 핵심요소 규명과 발전단계별 교과교실 유형 구분 연구
- T-STEAM 프로그램이 기술교과의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환경 과목 담당 교사의 교육과정지식에 관한 연구
-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
- 예비 초등교사들의 화석 개념에 대한 연구
- 음악과 수행평가 준거에 관한 연구
- 교사의 사기에 대한 교사/학생의 인식 변화 연구
- 초등교사 전문학습공동체의 사회수학적 규범에 관한 연구
- 심미적 경험을 위한 음악 감상 수업 모형 연구
- STEAM 기반 로봇 학습이 초등 정보영재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의 사례
- 정보통신 윤리교육에서의 개인화 포털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의 효과성 분석
-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광합성 실험에서 BTB 용액의 변색에 대한 교과서 분석 및 예비 교사의 화학적 이해 조사
-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상보적 관계
- DACUM법에 의한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 개발
- 초등학교 수학과와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을 통한 통계 그래프 관련 교육내용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