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이용수 97
- 영문명
-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Free School Lunch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광수(Lee, Kwang-Su)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9권 제3호, 177~1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7.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결정과정에 나타난 정책담론들이 수행하는 역할 및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담론 투쟁과정에서 부각된 담론들에 대한 신문기사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진보와 보수의 논리를 기술하고, 양자 간 대립하며 전개하고 있는 담론을 해석하였다. 또한, 사회적 실천관계에서는 정책이 형성되는 상황적 맥락과 결정이 이루어지는 제도적 맥락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른 이 연구의 결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결정과정에서 정책담론들은 진보와 보수 세력들의 정치적 이해관계와 결합하며 논쟁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무상급식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책행위자들, 즉 진보와 보수는 자신들의 논리를 정당화하기 위한 다양한 행동전략을 구사했으며 이 과정에서 정책담론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셋째, 서울시 무상급식에 관한 정책결정은 정책행위자들의 이해와 타협에 의한 결정이라기보다는 담론투쟁에 의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s politics in the course of policy making processthrough the theoretical principles and analytic method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byanalyzing the case of free school lunch in Seoul. The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were as follows:First,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free school lunch in Seoul, the discourses politicscan be seen as the combination with their politic interests. Second, the conservatives andthe progressives made full use of various behavioral strategy to justify their argumentsand in this process, discourses politics play a key role. Third, the policy decision in thepolicy making process of free school lunch in Seoul were the results of the discourse ofstruggle than the decision by policy behaviors compromise or understand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무상급식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과 민주주의의 연관성
- 수석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상의 차이 분석
-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과정 기반의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교과교실 운영의 핵심요소 규명과 발전단계별 교과교실 유형 구분 연구
- T-STEAM 프로그램이 기술교과의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환경 과목 담당 교사의 교육과정지식에 관한 연구
-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
- 예비 초등교사들의 화석 개념에 대한 연구
- 음악과 수행평가 준거에 관한 연구
- 교사의 사기에 대한 교사/학생의 인식 변화 연구
- 초등교사 전문학습공동체의 사회수학적 규범에 관한 연구
- 심미적 경험을 위한 음악 감상 수업 모형 연구
- STEAM 기반 로봇 학습이 초등 정보영재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의 사례
- 정보통신 윤리교육에서의 개인화 포털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의 효과성 분석
-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광합성 실험에서 BTB 용액의 변색에 대한 교과서 분석 및 예비 교사의 화학적 이해 조사
-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상보적 관계
- DACUM법에 의한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 개발
- 초등학교 수학과와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을 통한 통계 그래프 관련 교육내용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