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미적 경험을 위한 음악 감상 수업 모형 연구
이용수 73
- 영문명
- A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 Model for Music Appreciation in order for an Aesthetical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유정(Lee, Yoo-Jeong)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9권 제3호, 67~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7.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악 교육의 본질은 심미적 경험에 있다. 심미적 음악 감상 수업은 전인 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며 창의적 인재 육성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강화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학교 음악 교육의 현실에 비추어 학생들에게 질적으로 심화된 음악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프로젝트 형 음악 감상 수업 모형을 개발한다. 교육과정에서 현대 음악 레퍼토리와의 접촉이 부족함을 고려하여 20세기 실내악 작품들을 제재곡으로 선정하고, 소리와 리듬에 대한 탐구에 중점을 두어 학생들이 음악의 개념 이해를 통한 예술적 체험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영문 초록
The essence of music education lies in the aesthetic experiences. Music appreciation shouldbe emphasized further since it fits perfectly in the objective of whole person education, andalso it meets the demands of our time for fostering creative individuals. Considering thereality in music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 developed a project type musicappreciation lesson for an aesthetical experience as an alternative way of offering aquality-driven music education. In view of the lack of emphasis on sound and rhythm as abasic music element, and also considering the insufficient contact with contemporary musicrepertories in the current music curricula, I selected a few 20th century chamber music piecesin order for students to experience rich tone and strong rhythm of music.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이론적 배경
Ⅲ. 선진국의 음악교육
Ⅳ. 현행 학교 음악 수업 현장의 문제점
Ⅴ. 심미적 경험 중심 음악 감상 수업 모형
Ⅵ. 마치면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과 민주주의의 연관성
- 수석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상의 차이 분석
-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과정 기반의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교과교실 운영의 핵심요소 규명과 발전단계별 교과교실 유형 구분 연구
- T-STEAM 프로그램이 기술교과의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환경 과목 담당 교사의 교육과정지식에 관한 연구
-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
- 예비 초등교사들의 화석 개념에 대한 연구
- 음악과 수행평가 준거에 관한 연구
- 교사의 사기에 대한 교사/학생의 인식 변화 연구
- 초등교사 전문학습공동체의 사회수학적 규범에 관한 연구
- 심미적 경험을 위한 음악 감상 수업 모형 연구
- STEAM 기반 로봇 학습이 초등 정보영재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의 사례
- 정보통신 윤리교육에서의 개인화 포털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의 효과성 분석
-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광합성 실험에서 BTB 용액의 변색에 대한 교과서 분석 및 예비 교사의 화학적 이해 조사
-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상보적 관계
- DACUM법에 의한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 개발
- 초등학교 수학과와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을 통한 통계 그래프 관련 교육내용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