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of Middle School Third Grad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정진우(JEONG JIN WOO) 이동영(Lee, Dong-Young) 김윤지(Kim Yun Ji) 정철(Cheong Cheol)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5권 제2호, 375~38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며, 도시와 읍면 지역 학생들의 인식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환경 교과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 경기도 중소 도시 중학교의 학생 182명과 경상북도 읍면 지역에 위치한 중학교의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환경에 대한 그림 그리기 활동과 그림에 대한 설명, 그림에 등장하는 환경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자연 공간, 인간 공존 공간, 인간 지원 공간, 인간 영향 공간으로서 환경이 세부 분류되었으며, 다수의 학생들이 인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수정되는 공간으로 환경을 인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environme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ho live in a city and a rural area. We had 361 middle school students make sketches of the environment and let them explain their sketches. Among them, 182 students live in a city and 179 students in a rural area and all of them are not taught the subject Environment in their schools. The result of our analysis is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could be divided into nature-only, nature-and-human-coexisting, human-supporting, and human-impacted environment. Many students regard the environment as a place which is impacted or modified by huma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교육행정학의 철학적 기반 형성을 위한 과제
- 한국과 아일랜드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분석
- 사회적 자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 학교시설 증·개축 교육재정 투자의 효율화 방안 연구
- 초・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직지체험연수 프로그램 개발
- 프랑스 교사양성제도의 개편에 관한 연구
- 지역중심 대도시 내의 사교육활동 패턴
- 선행조직자 모형을 활용한 초등학생 알고리즘 학습 이러닝 적용 연구
- 암석과 광물에 대한 초ㆍ중학교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을 위한 기본체제의 설계와 과제
- 과학글쓰기가 화학Ⅰ과목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액화에 따른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변화에 관한 중학생들의 설명 유형분석
-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체험활동 중심 전기에너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선행학습 경험과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귀추적 사고를 도입한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빛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 일차방정식에 대한 학습부진아를 위한 CAS 계산기 활용 수업의 효과
- 알레고리의 구현 원리 읽기와 서사교육
- 수석교사제 시범운영 실태 분석
- 환경에 대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식
-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분석
-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미술과 수업 디자인 개발
- 직소 협동 학습 모형의 체육 수업 적용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